연구보고서
총 : 2,666건 PAGE : 82/134
-
현안
기업유치 활성화 방안
- 기간 : 2015. 02. 02 ~ 2015. 04. 30
- 연구책임자 : 신동호
- 본 연구는 공주시의 기업유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단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외 경기불황 수도권 규제완화 혁신기업도시 조성 등 기업유치 여건 변화에 따라 공주시의 대응전략이 요구되며 전국 지자체의 유치제도와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자치단체장의 의지 행정조직 정비 인센티브 제공 정부유관기관과의 공조가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공주시의 기업유치는 공주시 기업투자유치촉진조례에 근거하며 입지보조 투자보조 고용 및 교육훈련 보조 기반시설 지원 세제 감면 등이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수탁
충남경제비전 2030
- 기간 : 2015. 02. 01 ~ 2016. 01. 31
- 연구책임자 : 백운성
- 연구자: 강현수,신동호,조영재,김양중,김경태,임형빈,김용현,김형철,홍원표,이민정,최영화,김찬규,임병철,신준혁,송민정
- 충청남도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산업구조 변화 속에서 새로운 성장동력과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을 마련하고자 충남경제비전 2030을 수립했다 기존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는 대외 의존성과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있어 균형창조포용을 핵심 가치로 삼은 새로운 경제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바탕에 있다세계경제의 저성장 기술융합 가속화 고령화와 기후변화 같은 메가트렌드는 충남경제에도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한다 특히 중국의 신실크로드 전략 국내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 과학기술의 융복합화 등은 충남경제의 재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현안
생태계서비스보상제도(PES) 도입 방안 연구
- 기간 : 2015. 01. 26 ~ 2015. 06. 30
- 연구책임자 : 여형범
- 생태계서비스 보상제도PES는 자연환경 보전 활동에 대해 경제적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민간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재원을 확보하는 제도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중앙정부 주도의 분절화된 구조로 실효성이 낮아 지역 단위 PES 도입이 요구된다 특히 충남은 가치 있는 생태계와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PES 도입을 통해 자연환경 보호의 효율성을 높이고 개발과 보전의 갈등을 예방할 수 있다PES는 수혜자가 생태계서비스 제공자에게 보상을 지불하는 구조로 자발성 수혜자 지불 직접 지불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수탁
홍성군 결성읍성 테마공원화 기본계획
- 기간 : 2015. 01. 20 ~ 2015. 12. 11
- 연구책임자 : 김경태
- 연구자: 이상준,이충훈,이인배,임형빈,최영화,권미정
- 삶의 질 향상과 역사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로 지역 고유자원의 관광자원화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결성읍성은 조선시대 서해안의 군사 및 행정 중심지로 역사적 가치가 높지만 정비복원은 미흡한 상태다 이에 따라 테마공원화를 통한 보존과 관광자원화를 추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계획 대상지는 홍성군 결성면 일대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추진되며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관광 기반 조성 지역 활성화 전략 수립을 핵심 내용으로 포함한다 계획은 결성읍성과 주변 문화재를 연계해 체류형 관광지로 개발하는 데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전략
지역환경과 지역경제의 상생을 위한 충남도 대기환경재원 개선 연구
- 기간 : 2015. 01. 20 ~ 2015. 04. 30
- 연구책임자 : 김성욱
- 연구자: 최정석
- 충남은 국내 최대 전력 생산지로서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나 화력발전과 산업단지로 인한 대기오염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환경 피해는 지역 주민 건강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며 반면 수도권은 혐오시설 없이 혜택만 누리는 불공정한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충남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전국 상위권이며 벤젠암모니아미세먼지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배출도 많다 그러나 충남은 특별대책지역 지정에서도 배제되어 같은 오염 수준의 울산여수보다 제도적 보호가 부족하다 오염물질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연간 1조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전략
자치와 참여의 로컬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
- 기간 : 2015. 01. 20 ~ 2015. 07. 08
- 연구책임자 : 김욱
- 연구자: 정상호,김덕진,박상우
- 현대사회는 공동체 유대가 약화되고 개인주의가 확산되며 지방정부는 주민의 정치사회적 결속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제도 모색이 요구된다 충남은 자율과 책임을 기반으로 한 공공행정 모델을 구축하려 하며 실질적 민주주의 심화를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좋은 민주주의는 완성된 형태가 아니라 참여와 합의 심의 기능이 강화된 발전적 과정으로 인식된다 대의제의 한계를 넘기 위해 참여민주주의와 심의민주주의가 필요하며 이는 중앙보다는 지방 단위에서 실현 가능성이 크다 이를 실현하는 주체로서 좋은 시민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전략
공공혁신 논의의 현주소와 충청남도에 대한 시사점
- 기간 : 2015. 01. 20 ~ 2015. 07. 08
- 연구책임자 : 김대호
- 한국 공공부문은 국가주도 개발경제의 유산으로 과도하게 팽창해 있으며 단순한 공기업 부실 문제가 아니라 국가 설계 차원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한다 정부 공공기관 군 준공공조직까지 포함한 실질 공공부문의 범위와 영향력이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매우 넓고 강력하다공공부문은 GDP 대비 재정 비중만으로 평가하기 어렵고 규제 예산 인사 등 제도적 지배력을 고려해야 한다 예산 흑자처럼 보이는 통계도 사회보장기금 등을 제외하면 실질 적자는 심각하며 향후 고령화에 따른 연금과 의료 지출 확대는 한국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전략
충남 '포괄적 도민안보 체제(Comprehensive Residents Security System)'구축 방향과 과제
- 기간 : 2015. 01. 20 ~ 2015. 07. 08
- 연구책임자 : 김창수
- 현대사회의 안보 개념은 군사적 위협을 넘어 재난 감염병 환경 등 비군사적 요소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안보로 확장되고 있다 충남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통합방위와 재난관리의 융복합적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를 출발시켰다포괄적 도민안보 체제는 기존의 통합방위법과 재난관리법으로 분리된 대응 시스템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여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지역 중심의 안보체계를 목표로 한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과 책임을 강화하는 지역안보 전략의 일환이다해외사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현안
도 메가이벤트 추진을 위한 전략적 종합계획 수립
- 기간 : 2015. 01. 19 ~ 2015. 07. 07
- 연구책임자 : 이인배
- 충청남도는 지역경제와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메가이벤트 추진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메가이벤트의 유형 특성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추진방향을 설정하였다 메가이벤트는 대규모 국제행사로서 많은 방문객 막대한 예산 높은 국제적 인지도를 특징으로 하며 경제적 파급력뿐 아니라 정치사회적 영향력도 큰 행사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개최 후 성과평가 미흡 재정 부담 가중 외국인 관람객 저조 등의 문제점도 동반되고 있다충남은 안면도 국제꽃박람회 금산 세계인삼엑스포 등의 개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현안
2016년 전국체전 및 전국장애인 체전 운영방향 설정 및 파급효과 분석
- 기간 : 2015. 01. 15 ~ 2015. 03. 31
- 연구책임자 : 김경태
- 연구자: 임형빈
- 충청남도는 2016년 제97회 전국체육대회와 제36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를 개최하며 문화체전 참여체전 경제체전 안전체전을 4대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도민 참여를 유도하며 지역 자원을 활용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하였다 또한 경기장 안전과 편의성 확보에도 중점을 두었다전국체전의 경제적 효과는 충남지역 기준 1291억 원의 생산 유발 428억 원의 부가가치 1155명의 고용 증가를 포함하며 관광객 및 참가자 지출로 인한 효과까지 합산하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전략
지역 공예문화산업 경쟁력 확보방안 연구
- 기간 : 2015. 01. 15 ~ 2015. 07. 14
- 연구책임자 : 권영현
- 연구자: 신선하
- 공예문화는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산업의 한 분야지만 현실적으로 공예는 예술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공예인의 사회적 지위도 불명확하다 이로 인해 공예산업은 열악한 인프라와 단절된 전승 체계 낮은 품질 등의 문제를 겪고 있다충남의 공예산업은 영세하고 소규모 중심으로 운영되어 매출 부진 후계 단절 연관 산업 침체 문제를 안고 있으며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정책도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여도는 낮고 절차의 복잡성과 정보 전달 부족 등으로 정책 수혜가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전략
충남의 주거환경 격차분석과 주거환경 개선 정책 추진의 기본방향
- 기간 : 2015. 01. 02 ~ 2015. 08. 31
- 연구책임자 : 임준홍
- 충남은 주택의 양적 지표는 우수하지만 주거환경 만족도는 낮은 수준이다 주거환경 정책의 핵심은 삶의 질 향상에 있으며 도민 일상생활의 질적 격차 해소가 정책 우선순위로 제시된다전국 평균보다 낮은 주거환경 만족도는 충남의 의료 서비스 부족과 공동체 의식 저하와 관련된다 특히 농촌지역 고령층이 많은 면지역의 만족도가 높고 젊은 세대가 많은 읍지역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의료 서비스는 주거환경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공동체의 신뢰와 교류 역시 중요한 결정요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정책지원
[디자인지원]공공디자인컨설팅 지원
- 기간 : 2015. 01. 01 ~ 2015. 12. 31
- 연구책임자 : 권영현
- 연구자: 오병찬,방재성,박혜은
- 이 문서는 충남공공디자인센터가 2015년 한 해 동안 수행한 공공디자인 컨설팅 활동을 정리한 사례집이다 센터는 도내 공공디자인 정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총괄계획 수립 디자인 자문 시안 제안 현장 개선 등 다양한 형태의 컨설팅을 통해 시군 사업을 지원해왔다 목적은 디자인 품질 향상과 지역 간 디자인 격차 해소에 있다센터는 공공디자인을 도시경관 공공건축 시설물 매체 등으로 구분하고 각 분야별로 실효성 있는 컨설팅을 제공한다 추진 절차는 사전 협의부터 현장 방문 시안 제시 결과 환류까지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전략
충남 해삼산업 클러스터 구축방안
- 기간 : 2015. 01. 01 ~ 2015. 06. 30
- 연구책임자 : 신동호
- 해삼은 중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수산물이며 해삼시장 규모는 약 20조 원에 달한다 충남은 전국 해삼생산량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나 종묘 생산부터 가공유통에 이르는 통합된 시스템과 기술력이 미흡하여 대중국 수출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충남은 해삼양식에 적합한 자연환경 다수의 민간 전문가 정부의 해삼산업 지원 정책 등 여러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전문 연구기관 부재 열악한 가공기술 단일 양식방식 편중 영세업체 중심의 산업구조는 산업 고도화의 걸림돌로 지적된다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기본
농촌마을 과소·고령화에 미치는 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 기간 : 2015. 01. 01 ~ 2016. 12. 31
- 연구책임자 : 조영재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hollowization in rural villages which causes marginal villages appears in Korean rural villages and whether the hollowization has relation with decrease and aging of population or not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 survey was carried out fo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정책지원
충청남도 4대수계 주요하천 모니터링 결과 및 수질개선율 평가보고서(2015년)
- 기간 : 2015. 01. 01 ~ 2016. 03. 31
- 연구책임자 : 김홍수
- 연구자: 최정호,박상현,조병욱,문은호,최무진,김필주
- 이 문서는 2015년 충청남도 4대 수계금강 삽교호 서해 안성천의 주요 지류하천 90개소를 대상으로 수행한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한 보고서다 물 관리 정책의 기반이 되는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고 오염원 분석을 통해 수질 개선 우선 하천을 선정하며 향후 유역 단위 통합 관리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충남은 산업화와 인구 증가로 인해 오염물질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기존의 배출허용기준만으로는 하천 수질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운 한계에 직면하게 했다 이에 따라 이 보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정책지원
[디자인 기반강화사업]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발전전략 연찬회
- 기간 : 2015. 01. 01 ~ 2015. 03. 31
- 연구책임자 : 방재성
- 연구자: 오병찬,권영현,박혜은
- 이 문서는 충청남도의 공공디자인 미래 발전을 위한 통합 관리 전략과 실행 체계를 제안한 자료로 공공디자인의 현재 문제점을 진단하고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공공디자인을 단순한 시각적 장식에서 벗어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정책 수단으로 정의하며 사람 중심 참여 기반 통합적 관리라는 핵심 가치를 중심에 둔다충남의 공공디자인은 그동안 조형성 과잉 지역 정체성 오용 단편적 사업 집행 공공시설물 중심의 하드웨어적 접근 전문인력과 조직의 부재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고 시군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기본
중국 농촌관광의 현황과 시사점- 중국 향촌관광의 발전 특성과 의의,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s of China's Rural Tourism
- 기간 : 2015. 01. 01 ~ 2016. 12. 31
- 연구책임자 : 박경철
- 중국의 향촌관광은 여러 가지 발전적 특성과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향촌관광이 시간적 지역적 측면에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이 정책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봤다 그리고 중국 향촌관광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향후 지속가능한 향촌관광을 위한 개선 방향은 무엇인지 살펴봤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not only the timebased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전략
충남형 농촌주민기본소득제 도입 방안 연구
- 기간 : 2015. 01. 01 ~ 2015. 08. 31
- 연구책임자 : 박경철
- 연구자: 강마야
- 기본소득제는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조건 없이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제도로 전 세계적인 양극화와 불평등 심화 속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농업농촌의 위기를 겪고 있는 충남 지역에선 소득보장과 농촌공동체 회복을 위한 정책으로 기본소득 도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도시와 농촌 간 소득 격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고 농가의 경영환경도 악화일로에 있다 기존 농업직불금은 면적 중심 지급 방식으로 대농 중심으로 편중되어 소농과 고령 은퇴농은 실질적 소득보전 효과를 거의 누리지 못하
- 다운로드(1) 바로보기(1)
-
기본
도심거주 고령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 천안시를 사례로
- 기간 : 2015. 01. 01 ~ 2015. 12. 31
- 연구책임자 : 임준홍
- 본 연구는 천안시 도심에서 생활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충남사회지표 자료를 이용하여 분산분석 군집분석 등 통계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거환경 만족도를 분석하고 향후 도심을 고령자가 선호하는 주거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어떤 주거환경 항목을 우선적으로 정비하여야 하는가를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도심에서 생활하는 고령자의 주거이동 의향은 전체 응답자의 69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거이동 의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심에서 거주하는 고령자의 전반적인 주거
- 다운로드(1) 바로보기(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