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연구는 서천군의 과소고령화 마을인 한계마을을 대상으로 서천군 한계마을정책의 추진을 위한 주민 인식 조사를 수행하고 정책의 목표 전략 세부사업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조사는 4개 마을을 대상으로 면담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주민들은 행복한 커뮤니티 환경 조성을 정책 목표 중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어 안정적 정주체계 마련 사회적 약자 배려 지속가능한 마을 조성이 주요 과제로 제시되었다
정책의 주된 대상으로는 마을공동체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마을공간과 개인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적 지원은 지양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다 추진전략에 있어 기존 주민공간공동체 유지에 집중할지 새로운 인적자원과 공동체 조성에 집중할지에 대해서는 마을별로 상이한 의견을 보였다 일부 마을은 외지인 유입을 환영한 반면 일부는 공동체 갈등 가능성을 우려하며 기존 공동체 유지에 방점을 두었다
세부사업 중 주민들이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 모두 높게 평가한 사업은 한계마을 지원단 조직 및 찾아가는 서비스 운영과 체재형 주말별장 조성이었다 반면 고령친화형 농업 육성 향우청년회 조직 인근 마을 거점화 등은 실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컸다 마을재생사업 청년교류단 운영 신규마을 조성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등의 사업은 필요성은 높지만 실현 가능성은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일부 주민은 귀농귀촌 희망자에게 토지주택 정보를 제공하고 공공이 중개 역할을 맡는 것에 찬성했으나 민간 부동산의 반대 가능성과 실거래가 문제 등을 우려하였다 또한 방치된 빈집이나 폐가 등에 대해서는 규제를 통해 경관을 개선해야 한다는 강한 의견이 있었으나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하기도 했다 연합회 조직이나 공동체 형성 등은 일부 공감하였으나 실질적인 추진에는 부정적인 인식도 적지 않았다
한계마을의 실제 거주 인구는 대부분 2040명 규모로 고령층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빈집과 폐가도 많은 상황이었다 전입 인구는 극히 제한적이었고 외지인의 전입에 대해 마을별로 상이한 태도를 보였다 주민들은 마을 살리기를 위해 지원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였지만 마을별 현실에 맞는 맞춤형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서천군 한계마을정책은 주민공동체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며 사업별로 주민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 설명회 병행이 요구된다 향후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보다 정밀한 실태조사와 주체별 수요조사 세부 실행방안 마련이 필수적이다
정책의 주된 대상으로는 마을공동체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마을공간과 개인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적 지원은 지양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다 추진전략에 있어 기존 주민공간공동체 유지에 집중할지 새로운 인적자원과 공동체 조성에 집중할지에 대해서는 마을별로 상이한 의견을 보였다 일부 마을은 외지인 유입을 환영한 반면 일부는 공동체 갈등 가능성을 우려하며 기존 공동체 유지에 방점을 두었다
세부사업 중 주민들이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 모두 높게 평가한 사업은 한계마을 지원단 조직 및 찾아가는 서비스 운영과 체재형 주말별장 조성이었다 반면 고령친화형 농업 육성 향우청년회 조직 인근 마을 거점화 등은 실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컸다 마을재생사업 청년교류단 운영 신규마을 조성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등의 사업은 필요성은 높지만 실현 가능성은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일부 주민은 귀농귀촌 희망자에게 토지주택 정보를 제공하고 공공이 중개 역할을 맡는 것에 찬성했으나 민간 부동산의 반대 가능성과 실거래가 문제 등을 우려하였다 또한 방치된 빈집이나 폐가 등에 대해서는 규제를 통해 경관을 개선해야 한다는 강한 의견이 있었으나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하기도 했다 연합회 조직이나 공동체 형성 등은 일부 공감하였으나 실질적인 추진에는 부정적인 인식도 적지 않았다
한계마을의 실제 거주 인구는 대부분 2040명 규모로 고령층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빈집과 폐가도 많은 상황이었다 전입 인구는 극히 제한적이었고 외지인의 전입에 대해 마을별로 상이한 태도를 보였다 주민들은 마을 살리기를 위해 지원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였지만 마을별 현실에 맞는 맞춤형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서천군 한계마을정책은 주민공동체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며 사업별로 주민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 설명회 병행이 요구된다 향후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보다 정밀한 실태조사와 주체별 수요조사 세부 실행방안 마련이 필수적이다
목차
제1장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2장 서천군 한계마을정책 개요
제3장 한계마을 주민 의식조사
제4장 요약 및 결론
제2장 서천군 한계마을정책 개요
제3장 한계마을 주민 의식조사
제4장 요약 및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영재
공주발전 대토론회(이소영,조영재,양광호) 2016. 04. 29
제 1회 한중 3농 포럼(조영재,탕빙위안,청야오) 2015. 09. 14
충남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 충남 마을연구 사례 및 향후 연구과제(김필동,유보경,조영재) 2015. 04. 17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43호 2008. 06.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