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연구는 예산군이 문화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발전 구상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1100주년 문화도시 예산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사람 공간 활동 공유 네 가지 목표 아래 세부 전략을 제시한다 문화도시 정책은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과 주민의 문화적 삶 확산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지역 고유 자산과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사람 전략에서는 문화시민 활동가 양성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시민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문화 활동 참여 기반을 마련하고 고령화 사회를 반영한 노인층 대상 교육과정도 포함되어 있다 공간 전략은 내포문화도시 거점형 문화공간 조성과 내포보부상촌 연계사업으로 지역 내 유휴공간을 문화재생 공간으로 전환하고 문화기반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향으로 제시된다
활동 측면에서는 시민이 주도하는 커뮤니티 활성화와 문화공동체 솔루션 연구사업이 포함되며 지역 내 자발적인 문화 네트워크 형성과 지속가능한 거버넌스 체계 마련을 중점으로 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연계하여 문화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시민주도형 정책 실현을 추구한다
공유 목표는 예산 지명 1100주년을 기념한 문화자원 데이터베이스DB 구축과 문화신문 발간을 통해 지역 문화자산을 기록하고 시민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도시의 문화 활동을 체계적으로 아카이빙하고 주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문화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예산군은 풍부한 역사문화자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덕사 추사고택 윤봉길기념관 예당호 등의 자원을 바탕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문화시설이 부족하고 대표축제 부재 등의 문제도 있어 종합적 정책지원과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예산군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은 문화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시민 주도성과 지역 고유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활동과 거버넌스를 구현함으로써 예산군의 지속가능한 문화 발전과 도시브랜드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 전략에서는 문화시민 활동가 양성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시민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문화 활동 참여 기반을 마련하고 고령화 사회를 반영한 노인층 대상 교육과정도 포함되어 있다 공간 전략은 내포문화도시 거점형 문화공간 조성과 내포보부상촌 연계사업으로 지역 내 유휴공간을 문화재생 공간으로 전환하고 문화기반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향으로 제시된다
활동 측면에서는 시민이 주도하는 커뮤니티 활성화와 문화공동체 솔루션 연구사업이 포함되며 지역 내 자발적인 문화 네트워크 형성과 지속가능한 거버넌스 체계 마련을 중점으로 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연계하여 문화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시민주도형 정책 실현을 추구한다
공유 목표는 예산 지명 1100주년을 기념한 문화자원 데이터베이스DB 구축과 문화신문 발간을 통해 지역 문화자산을 기록하고 시민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도시의 문화 활동을 체계적으로 아카이빙하고 주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문화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예산군은 풍부한 역사문화자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덕사 추사고택 윤봉길기념관 예당호 등의 자원을 바탕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문화시설이 부족하고 대표축제 부재 등의 문제도 있어 종합적 정책지원과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예산군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은 문화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시민 주도성과 지역 고유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활동과 거버넌스를 구현함으로써 예산군의 지속가능한 문화 발전과 도시브랜드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문화도시의 정책동향
제2장 문화도시 관련 선행사례
제1절 국외 사례
제2절 국내 사례
제3장 예산군 도시 일반 현황 및 문화관광자원 여건
제1절 자연환경
제2절 인문경제현황
제3절 문화관광자원 여건
제4장 예산군 자원을 활용한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발전 방향
제2장 문화도시 관련 선행사례
제1절 국외 사례
제2절 국내 사례
제3장 예산군 도시 일반 현황 및 문화관광자원 여건
제1절 자연환경
제2절 인문경제현황
제3절 문화관광자원 여건
제4장 예산군 자원을 활용한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발전 방향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용준
국정과제(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방향) 모색 세미나(CNI세미나2017-089) (오용준) 2017. 07. 28
충남연구원-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 공동 춘계학술대회 개최 2016. 05. 12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사람 중심의 도시 만들기』 공동세미나(오용준, 윤두원) 2015. 07. 03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충청권발전특별법(안) 입법추진 관련 1차 워크숍(오용준) 2007. 05. 01
-
정지은
한국어촌민속마을의 조성을 위한 세미나(CNI세미나2017-060) (박창원, 심창섭, 정지은) 2017. 06. 26
열린충남 82호 (2018년봄호) 2018. 03. 12
충남의 문화정책 진흥을 위한 세미나(문화예술교육) (CNI세미나2018-029) 2018. 05. 02
복원대상지 수산자원 및 관광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II) 홍재상, 안명호 2016. 04. 28
충남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운영 실태 및 활성화 방안 -문화기반시설과 문화재단의 활용을 중심으로- 2016. 04. 15
충남의 영상 문화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세미나(CNI세미나2017-052) (채지영,정인선,최성은) 2017. 0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