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 사회적경제조직의 실태분석 및 지원체계 개선방안
정책지원

충남 사회적경제조직의 실태분석 및 지원체계 개선방안

기간
2019. 04. 15 ~ 2019. 12. 31
연구책임자
이홍택
연구자
박춘섭,전지훈,홍은일,임다정
키워드
사회적경제,충청남도,사회적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실태조사,고용현황,사회적가치
다운로드

20191226 충남 사회적경제 실태분석(pdf 버전)(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해당 보고서는 2019년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기업의 실태를 전수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내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의 운영 현황 성과 과제 및 정책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총 802개 기업 중 714개가 응답하였으며 기업의 일반 특성 재무고용 현황 사회적 가치 추구 운영의 민주성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도내 사회적경제 기업의 대다수가 협동조합 형태688였으며 대표자는 중장년층50대 이상이 주를 이루었다 설립 시기는 2016년 이후 설립된 기업이 절반에 달했고 주 사업분야는 도소매숙박 농림어업 교육 제조업 등이 중심이었다 평균 매출은 약 26억 원으로 증가 추세지만 기업 간 격차가 컸다 사회적기업이 전체 매출의 약 69를 차지하며 상대적으로 성과가 높았고 마을기업은 비중과 성과 모두 감소했다
고용 측면에서는 총 종사자 5000여 명 중 60가 유급 근로자였으며 여성과 60대 이상 고령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취약계층 고용 비율이 높아 사회적경제의 고유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고령자531와 청년206 고용이 두드러졌다 평균 근무기간은 12년 사이가 가장 많았고 유연근무제 도입은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는 추세였다
사회적 가치 실현 측면에서는 대다수 기업이 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제공 지역사회 기여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회적기업은 자체 성과 평가와 사회공헌 활동이 활발하였다 다만 협동조합과 마을기업은 사회적 목표 명문화 성과 평가 체계 등의 구축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재투자나 수익 환원 활동도 사회적기업이 가장 활발했으며 전체적으로는 수익 부족으로 인한 미실행이 많았다
의사결정 과정의 민주성은 평균적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나 사회적기업이 종사자 참여율이나 사외이사 참여율 등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근로자 대표의 실제 참여율은 60 이상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일부 협동조합에서는 전혀 참여가 없는 경우도 있었다
전반적으로 이 보고서는 충남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일정 수준 이상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성과 격차 내부 운영체계 미흡 재무적 취약성 등의 한계도 동시에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정책적 지원은 맞춤형 컨설팅 판로 확대 사회적 성과 평가제도 정비 등 구체적이고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Ⅰ 실태조사 개요
1 추진배경 및 범위
2 조사방법 및 내용
3 실태조사 지표 구성
Ⅱ 2019 실태조사 분석결과
1 일반 현황
2 재무 및 고용
3 사회적 활동
4 사회적가치 실현 및 평가
5 협력 수준 및 사회적 환원
6 운영의 민주성 및 근로환경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