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석문호 유입하천(시곡천, 백석천)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방안 연구
현안

석문호 유입하천(시곡천, 백석천)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방안 연구

기간
2019. 01. 09 ~ 2019. 03. 20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최정호,조병욱,박상현
키워드
석문호,유입하천,수질,수생태계,개선방안,오염원,수질개선,비점오염원
다운로드

현안과제 성과품(2019일반-1)_석문호 유입하천(시곡천, 백석천)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방안 연구_2019.03.20.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석문호 유입하천인 시곡천과 백석천의 수질오염 원인을 분석하고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석문호는 1991년 물막이 이후 수질이 악화되었으며 생태적 가치 하락과 농업용수로의 부적합성 문제로 지역사회에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시곡천과 백석천은 생활환경 기준에서 BOD는 Ⅱ등급으로 양호하나 TP는 Ⅲ등급으로 중권역 관리목표를 초과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수질조사 결과 두 하천은 갈수기에는 BOD 수치가 높고 풍수기에는 TP 수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시곡천은 축산계 오염원이 전체 배출량의 약 615를 차지하며 백석천도 축산계 생활계 토지계가 골고루 높은 비율을 보인다 하수도 보급률은 시곡천이 989로 높은 반면 백석천은 347에 불과하여 하수처리 인프라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가축사육두수 증가와 도시화로 인한 비점오염원 배출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서는 부착돌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지수 모두 과거 ED등급에서 최근에는 CB등급으로 일부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생물 다양성과 수생태계 건강성은 낮은 수준이다 시곡천에서는 멸종위기종인 삵과 금개구리 흰꼬리수리 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오염원으로 인한 서식지 훼손 우려도 병존하고 있다
개선방안으로는 하수관거 정비 확대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설치 시곡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백석천 하류 인공습지 조성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축산계와 비점오염원 삭감이 핵심이며 하천의 자정능력을 높이기 위한 생태공간 조성이 강조된다 인공습지는 수질 정화 외에도 환경교육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생활하수 및 가축분뇨의 적정 처리를 도모하고 하천 및 호소의 수질 개선과 수생태계 복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심 내 친수공간 확보 생물 다양성 증진 주민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부가적 효과도 예상된다 수질개선사업은 총사업비 693억 원 규모로 국고와 지방비가 투입되며 5개년 계획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결론적으로 시곡천과 백석천의 수질 개선은 단순한 오염물질 삭감에 그치지 않고 생태적 가치 회복과 주민 생활환경 개선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며 이를 위한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다

목차

제1장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장 유역 및 물환경 현황
제3장 오염원인 및 문제점 분석
제4장 개선방안 및 기대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