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보고서는 내포신도시 중심상업시설의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상업가로 활성화를 위한 특화가로 조성사업에 주민 참여를 도입한 사례를 다루고 있다 행정주도 방식이 아닌 주민이 기획과 조성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주민디자인단을 구성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정책에 반영하려는 시도가 핵심이다 이 사업은 홍성군과 충청남도 충남연구원이 협력하여 추진되었으며 실제 거주자와 상인 등 수요자 중심의 계획이 이뤄지도록 유도되었다
사업의 공간적 범위는 중심상업용지 내 보행자 전용도로이며 1단계104m 구간은 2018년 완공 2단계535m 구간은 2019년 공모사업 선정으로 추가 예산을 확보하여 추진되었다 주민디자인단은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선진지 견학을 실시하고 이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단순한 물리적 조성에 그치지 않고 주민의 경험과 수요가 반영된 실효성 있는 계획안이 도출되었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제안된 아이디어는 공연장 멀티비전 분수대 역사거리 파고라 및 벤치 설치 조명거리 조성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야간에도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조명시설과 쉼터 조성을 강조하였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역사적 테마거리도 주요한 논의 대상이었다 팀별 활동을 통해 총 10개의 주요 아이디어가 선별되었고 이 중 5개는 최종 계획에 반영되었다
선진지 견학은 대전 봉명동 카페거리와 대구 동성로 진골목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주민디자인단의 시야 확장과 현실성 있는 계획안 도출에 기여하였다 대전은 문화여가 중심의 거리 조성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했고 대구는 역사와 문화성을 결합한 테마거리로서 성공적인 사례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다른 지역의 사례는 내포신도시에도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제공하였다
최종적으로 주민디자인단의 의견은 특화거리의 구체적인 공간 구성으로 정리되었으며 포토존 야외 공연장 조명 아치 수경시설 등 다양한 시설이 포함되었다 이는 단순한 상업공간이 아닌 시민들이 교류하고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성격을 부여하고자 한 결과이다 특히 공통적으로 조명시설과 휴게시설이 강조되었으며 이는 안전과 편의성 확보라는 목적에 부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내포신도시 특화가로 조성사업이 주민참여를 통해 실효성 있는 결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유사한 도시경관 사업에도 주민디자인단 운영이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행정과 주민의 협업 구조가 도시재생 및 상업활성화에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업의 공간적 범위는 중심상업용지 내 보행자 전용도로이며 1단계104m 구간은 2018년 완공 2단계535m 구간은 2019년 공모사업 선정으로 추가 예산을 확보하여 추진되었다 주민디자인단은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선진지 견학을 실시하고 이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단순한 물리적 조성에 그치지 않고 주민의 경험과 수요가 반영된 실효성 있는 계획안이 도출되었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제안된 아이디어는 공연장 멀티비전 분수대 역사거리 파고라 및 벤치 설치 조명거리 조성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야간에도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조명시설과 쉼터 조성을 강조하였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역사적 테마거리도 주요한 논의 대상이었다 팀별 활동을 통해 총 10개의 주요 아이디어가 선별되었고 이 중 5개는 최종 계획에 반영되었다
선진지 견학은 대전 봉명동 카페거리와 대구 동성로 진골목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주민디자인단의 시야 확장과 현실성 있는 계획안 도출에 기여하였다 대전은 문화여가 중심의 거리 조성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했고 대구는 역사와 문화성을 결합한 테마거리로서 성공적인 사례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다른 지역의 사례는 내포신도시에도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제공하였다
최종적으로 주민디자인단의 의견은 특화거리의 구체적인 공간 구성으로 정리되었으며 포토존 야외 공연장 조명 아치 수경시설 등 다양한 시설이 포함되었다 이는 단순한 상업공간이 아닌 시민들이 교류하고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성격을 부여하고자 한 결과이다 특히 공통적으로 조명시설과 휴게시설이 강조되었으며 이는 안전과 편의성 확보라는 목적에 부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내포신도시 특화가로 조성사업이 주민참여를 통해 실효성 있는 결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유사한 도시경관 사업에도 주민디자인단 운영이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행정과 주민의 협업 구조가 도시재생 및 상업활성화에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1 과제의 개요
2 내포신도시 특화가로 조성사업 계획 및 추진현황
3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개념
4 주민디자인단 운영과정
5 주민디자인단 운영결과
2 내포신도시 특화가로 조성사업 계획 및 추진현황
3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개념
4 주민디자인단 운영과정
5 주민디자인단 운영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권영현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9호 2012. 06. 0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변화와 충남의 대응전략(김영기, 임준홍) 2010. 02. 09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
-
신선하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태안관문가꾸기 기본구상 2015. 05. 14
제3차 충남 보육발전 5개년 계획서 표지 디자인 2015. 12. 01
충청남도 문화예술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용역 2013. 09. 30
태안군 농·수산물 포장재 디자인 개발 연구용역 2015. 0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