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와 북한이 생태적 협력을 통해 한반도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생물자원 보전 및 상호 신뢰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주요 협력 대상 생물종으로는 넓적부리도요 황새 종어 철갑상어가 제시되며 각각의 현황과 남북 협력 가능성이 검토되었다 넓적부리도요는 극심한 멸종위기종으로 북한 비무장지대와 유부도를 중심으로 공동 모니터링과 서식지 보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황새는 국내에서 텃새로 복원에 성공하고 있으며 북한 지역에도 복원 개체군을 조성함으로써 한반도 전역의 생태적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 남측 예산군 황새마을에서 증식된 개체와 알을 북한에 제공하고 인공증식 및 복원기술을 이전함으로써 북한 내 자생군 형성이 가능하다는 계획이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남북 모두 황새의 생존 기반을 강화하고 국제적 멸종위기종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종어는 과거 한반도에서 임금에게 진상되던 귀한 어종으로 현재는 남북 모두에서 절종된 상태다 남측에서 확보된 개체를 북한에 제공하여 하구 생태계에서 자연 복원을 시도하며 이 과정에서 양식기술 이전과 자연계 정착을 위한 공동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남측에서는 기수역 부족으로 복원이 어려운 상황이므로 하구 환경이 유지된 북한에서의 방류가 유효하다는 분석이다
철갑상어의 경우도 남한에서는 절종되었으며 북한은 양식과 요리로 일부 활용하고 있으나 고유종 여부는 불확실하다 북한의 강 하구 지역을 정밀 조사하여 고유 개체를 확보하고 확보된 개체를 증식 후 남측 하구 복원에 활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철갑상어 복원은 생물다양성뿐만 아니라 유전적 자원 확보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각 사업은 북한의 현장 조사와 남측의 기술자원 제공을 결합한 방식으로 추진되며 남북 간 정보 교류 인적 교류 공동 연구 등의 방식으로 실현 가능성을 높인다 특히 넓적부리도요는 동아시아철새네트워크라는 국제협약을 바탕으로 황새와 종어 철갑상어는 남측의 증식 및 양식기술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협력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보고서는 생물종 복원과 생태계 보전이라는 생태적 목표뿐만 아니라 남북 간의 상호 이해와 신뢰 회복 더 나아가 평화 정착이라는 사회적정치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남북협력 모델로 기능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국제 사회에서의 남북 공동 책임 수행에도 부합한다
황새는 국내에서 텃새로 복원에 성공하고 있으며 북한 지역에도 복원 개체군을 조성함으로써 한반도 전역의 생태적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 남측 예산군 황새마을에서 증식된 개체와 알을 북한에 제공하고 인공증식 및 복원기술을 이전함으로써 북한 내 자생군 형성이 가능하다는 계획이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남북 모두 황새의 생존 기반을 강화하고 국제적 멸종위기종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종어는 과거 한반도에서 임금에게 진상되던 귀한 어종으로 현재는 남북 모두에서 절종된 상태다 남측에서 확보된 개체를 북한에 제공하여 하구 생태계에서 자연 복원을 시도하며 이 과정에서 양식기술 이전과 자연계 정착을 위한 공동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남측에서는 기수역 부족으로 복원이 어려운 상황이므로 하구 환경이 유지된 북한에서의 방류가 유효하다는 분석이다
철갑상어의 경우도 남한에서는 절종되었으며 북한은 양식과 요리로 일부 활용하고 있으나 고유종 여부는 불확실하다 북한의 강 하구 지역을 정밀 조사하여 고유 개체를 확보하고 확보된 개체를 증식 후 남측 하구 복원에 활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철갑상어 복원은 생물다양성뿐만 아니라 유전적 자원 확보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각 사업은 북한의 현장 조사와 남측의 기술자원 제공을 결합한 방식으로 추진되며 남북 간 정보 교류 인적 교류 공동 연구 등의 방식으로 실현 가능성을 높인다 특히 넓적부리도요는 동아시아철새네트워크라는 국제협약을 바탕으로 황새와 종어 철갑상어는 남측의 증식 및 양식기술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협력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보고서는 생물종 복원과 생태계 보전이라는 생태적 목표뿐만 아니라 남북 간의 상호 이해와 신뢰 회복 더 나아가 평화 정착이라는 사회적정치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남북협력 모델로 기능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국제 사회에서의 남북 공동 책임 수행에도 부합한다
목차
1 연구개요
2 충남의 생태 분야 이슈 및 북한의 현황
3 남북 협력교류생태분야 제안
4 결론
2 충남의 생태 분야 이슈 및 북한의 현황
3 남북 협력교류생태분야 제안
4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옥식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2017. 07. 12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