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청양군 생활계 유해폐기물 관리계획 수립
수탁

청양군 생활계 유해폐기물 관리계획 수립

기간
2019. 02. 27 ~ 2019. 05. 27
연구책임자
정종관
연구자
박현진
키워드
생활계 유해폐기물,청양군,폐농약병,폐의약품,폐형광등,폐전지류,수거체계,재정계획
다운로드

190604 청양군 생활계 유해폐기물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청양군은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생활계 유해폐기물 관리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폐농약병 폐의약품 폐형광등 폐전지류 등 주요 유해폐기물의 발생억제 안전처리 재활용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한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군민이 폐농약과 폐농약병을 집에 보관하고 있으며 수거함 존재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었다 설문 응답자들은 수거함 위치 안내 접근성 향상 농약판매상 의무 회수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했다
폐의약품의 경우 사용 후 버리는 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일반쓰레기와 함께 처리되는 경우가 많았고 환경오염 우려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수거 체계에 대한 정보는 부족했다 전용 수거함 보급 확대와 홍보가 요구된다
폐형광등과 폐전지류에 대해서도 유해성 인식은 있으나 수거 방식에 대한 이해도는 낮았으며 응답자 다수는 수은과 중금속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유해폐기물 관리에 대한 주민 참여와 인식은 일정 수준에 도달했으나 수거 체계의 접근성 교육 홍보 부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군은 참여형 계획기법과 주민 의견 반영을 통한 개선 전략을 마련하였다
계획은 향후 홍보 교육 수거시설 확충 수거업체 지원 등 실천적 대책을 포함하고 있으며 청양군의 자연환경 및 생활여건을 고려한 공간적 맞춤형 접근을 통해 지속 가능한 폐기물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목차

Ⅰ 제1장 관리계획의 구성
1 계획의 개요
배경 및 목적
계획의 성격 및 지위
법적 근거
2 계획의 내용 및 범위
시간적 범위
공간적 범위
내용적 범위
3 계획의 체계
계획의 수립방법
계획의 수립체계 흐름도
Ⅱ 제2장 지역현황 및 특성분석
1 자연환경 특성
입지 및 지형
수계
2 인문사회경제 환경
인구
주택
토지이용
산업구조
상수도
도로 및 교통
제3장 유해폐기물 관리 현황
1 생활계 유해폐기물 관련 설문조사
설문조사의 목적
설문조사 방법
설문조사 내용
설문조사 결과
2 폐농약병 관리 현황
발생현황
배출현황
수거현황
처리현황
3 폐의약품 관리 현황
발생현황
배출현황
수거현황
처리현황
4 폐형광등 관리 현황
발생현황
배출현황
수거현황
처리현황
5 폐전지류 관리 현황
발생현황
배출현황
수거현황
처리현황
제4장 유해폐기물 관리 여건과 전망
1 발생배출 전망
2 관리 방향
제5장 유해폐기물 시책사업 및 재정계획
1 시책사업
2 재정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