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녹지단절구간 분석 및 추가녹지 특성 규정을 위한 우선보전 연결구간 선정 -녹지네트워크 실현을 위한 1차 연구
기획전략(2011년전)

녹지단절구간 분석 및 추가녹지 특성 규정을 위한 우선보전 연결구간 선정 -녹지네트워크 실현을 위한 1차 연구

기간
2010. 01. 01 ~ 2010. 12. 31
연구책임자
사공정희
키워드
야생동물,녹지단절구간,녹지네트워크
다운로드

R101225-녹지단절구간 분석 및 추가녹지 특성 규정을 위한 우선보전 연결구간 선정 -녹지네트워크 실현을 위한 1차 연구- (사공정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도시 개발로 인해 녹지공간이 단절되고 있으나 야생동물이 실제로 서식하고 있는 생태적 양호 구간은 보호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생태계의 안정성을 위해 이미 존재하는 연결구간을 사전에 선정하고 보호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충남 5개 시군을 대상으로 500개 지점을 선정해 야생포유류 조사를 실시했으며 그중 264개 지점에서 평균 이상 종이 출현했다 이 지점들에서 공통적으로 산림 논 밭 하천 등 다양한 토지이용형태가 복합된 경우가 많았다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8개의 생태지표를 바탕으로 패치를 선별하고 각 패치 가장자리에 조사지점을 설정했다 출현예상지점과 실제 출현지점 간의 일치율이 높아 예측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조사된 500개 지점에서 984인 492개 지점에서 포유류가 출현했으며 멸종위기종인 삵은 162개 지점에서 발견됐다 삵 출현지점의 901가 평균이상 종수 출현지점과 일치해 우선보전 연결구간 선정의 타당성이 높았다
토지이용형태 분석 결과 57개 유형이 복합된 지점에서 야생동물의 출현이 두드러졌으며 특히 논 밭 하천 등은 출현빈도가 높고 도시형건축물 도로는 낮았다 이는 생물 다양성과 연계된 생태적 조건을 반영한 결과다
총 89개 지점이 우선보전 연결구간으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이 구간들은 생태적으로 안정된 야생동물 서식지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 관리가 필요하다 향후 종별 특성과 이동 경로 등을 반영한 정밀한 범위 설정이 요구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 과정 및 내용
2 연구방법
21 야생동물 출현예상지점 선정
211 야생동물 출현가능성 평가지표 선정
212 야생동물 출현가능성 평가 및 지점 선정
22 출현예상지점 조사 및 출현지점과의 일치도 검증
221 출현예상지점 야생동물 현장조사
222 일정 종 수 이상의 출현지점 선별
223 출현예상 및 출현지점 간의 일치도 확인
23 토지이용형태 조사 및 공통적 유형 도출
231 토지이용형태 조사를 위한 유형분류
232 토지이용형태의 공통적 유형 도출
24 우선보전 연결구간 지정
제3장 결과 및 고찰
1 야생동물 출현예상지점 선정 결과
2 출현예상지점 야생동물 현장조사 결과
3 토지이용형태의 공통적 유형 도출 결과
31 지점별 주변 토지이용형태 파악
32 토지이용형태 유형수와 출현종수의 관계성 분석
33 토지이용형태 유형별 출현빈도 분석
4 우선보전 연결구간 지정 결과
제4장 결론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