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도시 개발로 인해 녹지공간이 단절되고 있으나 야생동물이 실제로 서식하고 있는 생태적 양호 구간은 보호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생태계의 안정성을 위해 이미 존재하는 연결구간을 사전에 선정하고 보호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충남 5개 시군을 대상으로 500개 지점을 선정해 야생포유류 조사를 실시했으며 그중 264개 지점에서 평균 이상 종이 출현했다 이 지점들에서 공통적으로 산림 논 밭 하천 등 다양한 토지이용형태가 복합된 경우가 많았다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8개의 생태지표를 바탕으로 패치를 선별하고 각 패치 가장자리에 조사지점을 설정했다 출현예상지점과 실제 출현지점 간의 일치율이 높아 예측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조사된 500개 지점에서 984인 492개 지점에서 포유류가 출현했으며 멸종위기종인 삵은 162개 지점에서 발견됐다 삵 출현지점의 901가 평균이상 종수 출현지점과 일치해 우선보전 연결구간 선정의 타당성이 높았다
토지이용형태 분석 결과 57개 유형이 복합된 지점에서 야생동물의 출현이 두드러졌으며 특히 논 밭 하천 등은 출현빈도가 높고 도시형건축물 도로는 낮았다 이는 생물 다양성과 연계된 생태적 조건을 반영한 결과다
총 89개 지점이 우선보전 연결구간으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이 구간들은 생태적으로 안정된 야생동물 서식지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 관리가 필요하다 향후 종별 특성과 이동 경로 등을 반영한 정밀한 범위 설정이 요구된다
충남 5개 시군을 대상으로 500개 지점을 선정해 야생포유류 조사를 실시했으며 그중 264개 지점에서 평균 이상 종이 출현했다 이 지점들에서 공통적으로 산림 논 밭 하천 등 다양한 토지이용형태가 복합된 경우가 많았다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8개의 생태지표를 바탕으로 패치를 선별하고 각 패치 가장자리에 조사지점을 설정했다 출현예상지점과 실제 출현지점 간의 일치율이 높아 예측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조사된 500개 지점에서 984인 492개 지점에서 포유류가 출현했으며 멸종위기종인 삵은 162개 지점에서 발견됐다 삵 출현지점의 901가 평균이상 종수 출현지점과 일치해 우선보전 연결구간 선정의 타당성이 높았다
토지이용형태 분석 결과 57개 유형이 복합된 지점에서 야생동물의 출현이 두드러졌으며 특히 논 밭 하천 등은 출현빈도가 높고 도시형건축물 도로는 낮았다 이는 생물 다양성과 연계된 생태적 조건을 반영한 결과다
총 89개 지점이 우선보전 연결구간으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이 구간들은 생태적으로 안정된 야생동물 서식지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 관리가 필요하다 향후 종별 특성과 이동 경로 등을 반영한 정밀한 범위 설정이 요구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 과정 및 내용
2 연구방법
21 야생동물 출현예상지점 선정
211 야생동물 출현가능성 평가지표 선정
212 야생동물 출현가능성 평가 및 지점 선정
22 출현예상지점 조사 및 출현지점과의 일치도 검증
221 출현예상지점 야생동물 현장조사
222 일정 종 수 이상의 출현지점 선별
223 출현예상 및 출현지점 간의 일치도 확인
23 토지이용형태 조사 및 공통적 유형 도출
231 토지이용형태 조사를 위한 유형분류
232 토지이용형태의 공통적 유형 도출
24 우선보전 연결구간 지정
제3장 결과 및 고찰
1 야생동물 출현예상지점 선정 결과
2 출현예상지점 야생동물 현장조사 결과
3 토지이용형태의 공통적 유형 도출 결과
31 지점별 주변 토지이용형태 파악
32 토지이용형태 유형수와 출현종수의 관계성 분석
33 토지이용형태 유형별 출현빈도 분석
4 우선보전 연결구간 지정 결과
제4장 결론
참고문헌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 과정 및 내용
2 연구방법
21 야생동물 출현예상지점 선정
211 야생동물 출현가능성 평가지표 선정
212 야생동물 출현가능성 평가 및 지점 선정
22 출현예상지점 조사 및 출현지점과의 일치도 검증
221 출현예상지점 야생동물 현장조사
222 일정 종 수 이상의 출현지점 선별
223 출현예상 및 출현지점 간의 일치도 확인
23 토지이용형태 조사 및 공통적 유형 도출
231 토지이용형태 조사를 위한 유형분류
232 토지이용형태의 공통적 유형 도출
24 우선보전 연결구간 지정
제3장 결과 및 고찰
1 야생동물 출현예상지점 선정 결과
2 출현예상지점 야생동물 현장조사 결과
3 토지이용형태의 공통적 유형 도출 결과
31 지점별 주변 토지이용형태 파악
32 토지이용형태 유형수와 출현종수의 관계성 분석
33 토지이용형태 유형별 출현빈도 분석
4 우선보전 연결구간 지정 결과
제4장 결론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