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제2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20102014을 수립하기 위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조사는 농산어촌 주민의 수요와 정책 의견을 수렴하여 상향식 개발을 추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보건복지 교육 인프라 경제 문화 환경 지역역량 등 7개 부문으로 삶의 질을 진단하였다 응답자의 40 이상이 현재 삶의 질에 대해 보통이라 평가했고 25는 불만족 이상으로 응답해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5년 전과 비교한 삶의 질 변화에서는 약 40가 개선되었다고 응답했지만 미래에 대해서는 변화 없을 것이 419로 가장 많았고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도 262나 되었다 삶의 질 향상에 가장 필요한 사업으로는 교육여건 개선22 보건복지 증진194 경제활동 다각화153 등이 꼽혔으며 문화여가 부문은 만족도가 가장 낮은 영역으로 평가되었다
보건복지 부문에서는 농어촌 보건의료기반 확충613 생활안정 강화60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부문에서는 교육비 부담 경감544 공교육 프로그램 강화462가 주요 과제로 도출되었다 기초생활 인프라 개선에서는 농어촌 정주환경 개선463과 지역주도 개발체계 지원294이 요구되었다
경제활동 다각화에서는 농어촌산업 고도화425와 체험휴양기반 구축394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으며 문화여가 부문에서는 생활친화형 인프라 확충407과 문화향유 기회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환경 부문은 환경오염 방지406 저탄소 기반 구축319 등이 강조되었고 지역역량 강화에서는 인적자원 확충463 컨설팅 및 네트워크 강화가 주요 과제로 부상했다
응답자들은 농촌 공연문화 개발 문화시설 유치 친환경 농업 제도 농산물 가격 안정화 귀농 교육 지원 등의 다양한 정책적 요구를 제시하였다 또한 농어민의 지속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기적 계획 수립과 정책의 일관성 사후관리의 필요성도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조사는 농림어업인의 삶의 질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의료 교육 인프라 경제 다각화 문화 복지 등 다방면에서 실질적인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며 주민 참여형 정책 설계와 실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5년 전과 비교한 삶의 질 변화에서는 약 40가 개선되었다고 응답했지만 미래에 대해서는 변화 없을 것이 419로 가장 많았고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도 262나 되었다 삶의 질 향상에 가장 필요한 사업으로는 교육여건 개선22 보건복지 증진194 경제활동 다각화153 등이 꼽혔으며 문화여가 부문은 만족도가 가장 낮은 영역으로 평가되었다
보건복지 부문에서는 농어촌 보건의료기반 확충613 생활안정 강화60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부문에서는 교육비 부담 경감544 공교육 프로그램 강화462가 주요 과제로 도출되었다 기초생활 인프라 개선에서는 농어촌 정주환경 개선463과 지역주도 개발체계 지원294이 요구되었다
경제활동 다각화에서는 농어촌산업 고도화425와 체험휴양기반 구축394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으며 문화여가 부문에서는 생활친화형 인프라 확충407과 문화향유 기회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환경 부문은 환경오염 방지406 저탄소 기반 구축319 등이 강조되었고 지역역량 강화에서는 인적자원 확충463 컨설팅 및 네트워크 강화가 주요 과제로 부상했다
응답자들은 농촌 공연문화 개발 문화시설 유치 친환경 농업 제도 농산물 가격 안정화 귀농 교육 지원 등의 다양한 정책적 요구를 제시하였다 또한 농어민의 지속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기적 계획 수립과 정책의 일관성 사후관리의 필요성도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조사는 농림어업인의 삶의 질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의료 교육 인프라 경제 다각화 문화 복지 등 다방면에서 실질적인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며 주민 참여형 정책 설계와 실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Ⅰ 주민 설문조사표안
Ⅱ 주민 설문조사 결과 분석
부록 주민 설문조사 집계 결과
Ⅱ 주민 설문조사 결과 분석
부록 주민 설문조사 집계 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영재
공주발전 대토론회(이소영,조영재,양광호) 2016. 04. 29
제 1회 한중 3농 포럼(조영재,탕빙위안,청야오) 2015. 09. 14
충남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 충남 마을연구 사례 및 향후 연구과제(김필동,유보경,조영재) 2015. 04. 17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43호 2008. 06.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