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하천을 고려한 호소의 물 순환 정책방안 -충남.대전지역 농업용 호소의 체류시간을 중심으로-
기본

하천을 고려한 호소의 물 순환 정책방안 -충남.대전지역 농업용 호소의 체류시간을 중심으로-

기간
2011. 01. 01 ~ 2011. 12. 31
연구책임자
이상진
키워드
하천,호소,물순환,농업용수,Agricultural,Reservoir
다운로드

하천(河川)을 고려한 호소(湖沼)의 물 순환 정책방안(2012.12.31, 이상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성한 호소에 장기간 물을 담수함에 따라 수질오염으로 이용가치 저하와 하류 하천이 건천화 되어 하천의 기능을 상실하는 등 유역내 잘못된 물 관리체계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충남대전지역을 중심으로 농업용 호소의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호소수의 체류시 간은 8개월 이상을 유지하여 그 기간 동안 하류하천의 건천화가 나타났고 호소수의 수질은 생활계 및 축산계 오염물질의 유입과 강수량에 따른 물 순환특성과 상당히 밀접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호소 유역내 수질오염물질 저감과 함께 하류하천이 건천화가 되지 않도록 담수량과 담수시기를 조절하고 호소수 체류시간은 가급적 짧게 유지하는 등 유역내 물 순환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Several problems occurred due to the use of the wrong water cycle system in the watershed This was caused by a dry stream in the lower parts of the tributaries and the deterioration in value of usage by water pollution in accordance with water storage This wa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reservoir which secured the agricultural water As a result of the operational status in the agricultural reservoirs focused on Chungcheongnamdo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a dry stream appeared because hydraulic retention timeHRT in the majority of reservoirs was maintained for 8 months of the year The water quality in the agricultural reservoir was fairly related to the water cycle system due to rainfall and input of pollutants from the population and livestock in the watershed
Consequently the storage water volume and the time period of the water in the reservoir should be controlled by the reduction of the pollution load in the water and the prevention of a dry stream Also the water cycle system in the watershed should be improved by maintaining a short HRT of the reservoir

목차

1 서론
2 관련연구 동향
3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호소 조성 및 운영현황
4 호소와 하천의 물 순환체계 개선방안
5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