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2011~2015년 충청남도 경제, 통상전망
현안

2011~2015년 충청남도 경제, 통상전망

기간
2011. 02. 07 ~ 2011. 03. 04
연구책임자
김양중
키워드
충청남도,경제전망,수출증가,GRDP성장,세계경제회복,제조업호조,소비개선,투자확대
다운로드

F_1103_2011년_충남_GRDP_전망(김양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경제와 통상 전망을 다루고 있다 세계 경제는 미국 중국 등의 완만한 회복세와 신흥국의 높은 성장세에 힘입어 2011년 44의 성장이 예상되며 다만 유럽 재정위기와 고용시장 부진 등은 불안 요소로 작용한다 한국은 수출과 설비투자 호조로 4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충남 또한 제조업 중심의 성장세가 기대된다
충남은 수출과 GRDP 모두 전국 평균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였으며 수출은 ARIMA 모델을 활용한 예측 결과 2011년 6064억 불 2015년에는 7848억 불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었다 GRDP는 2011년 823조 원 2015년 1017조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다만 세종특별자치시 분리에 따른 일부 감소가 예상된다
충남의 주요 수출품은 디스플레이 반도체 석유화학 제품이며 특히 스마트기기 수요 증가로 인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수출 증가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설비투자는 주력 산업의 수익성 개선에 따라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지만 건설투자는 주택경기 부진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정체될 것으로 보인다
고용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개선될 전망이나 건설업은 고용 증가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물가는 국제 원자재 및 수입물가 상승 국내 수요 회복 등으로 인해 상승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전세가격 급등 또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경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수출과 GRDP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며 경제변수와 인구추세를 반영한 예측모형은 충남의 중장기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충남은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여 타 시도 대비 경쟁력을 확보한 지역으로 평가된다

목차

Ⅰ 세계 경제전망
Ⅱ 우리나라 경제전망
Ⅲ 충남의 경제전망
Ⅳ 충남의 경제통상 실증분석
1 연구방법
2 충남의 수출추세 및 전망
3 충남의 GRDP 추세 및 전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