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보고서는 농업 상업 공업 간 연계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농상공연대의 개념과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농상공연대는 농림어업자와 상공업자가 협력하여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상호 이익을 도모하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2007년 농림수산성과 경제산업성이 공동으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육성전략이 추진되며 1차 산업과 23차 산업의 유기적 융합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다
농상공연대는 신상품 개발형 신생산방식 도입형 신서비스 개발형 등으로 유형화되며 협력 방식은 공동출자형 전략적 제휴형 농어업인 경영형 등이 있다 일본의 사례에서는 농업 분야가 참여 비중이 가장 높고 공업자와의 연대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국내 정책으로는 농림수산식품부와 중소기업 관련 부처에서 생산 판로 시설 컨설팅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사업이 운영되고 있으며 법적 기반도 마련되어 있다
국내 사례로는 양구 산채비빔밥 의성 마늘햄 함양 연잎밥 문경 오미자 부안 오디 파주 장단콩 화천 토마토 등 농산물을 가공식품으로 개발한 예시가 있으며 지자체 농가 대기업 영농조합이 협력하여 지역특산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안정적 판로를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농가 소득 증대와 지역 브랜드 가치 향상이라는 효과를 얻고 있다
해외 사례에서는 일본에서 농업자 어업자 식품 및 유통업자가 참여한 와이너리 사업 복어의 콜라겐을 활용한 디저트 개발 지역 농산물 기반 칵테일 제조 등의 성공 사례가 소개되었다 이들은 각각의 자원을 융합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을 창출하고 있으며 잡어와 휴경지 활용 등 자원의 효율적 재활용을 통해 환경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농상공연대는 지역자원의 효율적 활용 농가 소득 향상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평가되며 상호 호혜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체계 구축이 핵심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농업의 자원을 연계한 사업모델은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함께 추진되어야 하며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정책 설계가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농상공연대는 농촌과 도시 1차와 23차 산업 간 경계를 허물고 상생의 경제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민관 협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농상공연대는 신상품 개발형 신생산방식 도입형 신서비스 개발형 등으로 유형화되며 협력 방식은 공동출자형 전략적 제휴형 농어업인 경영형 등이 있다 일본의 사례에서는 농업 분야가 참여 비중이 가장 높고 공업자와의 연대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국내 정책으로는 농림수산식품부와 중소기업 관련 부처에서 생산 판로 시설 컨설팅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사업이 운영되고 있으며 법적 기반도 마련되어 있다
국내 사례로는 양구 산채비빔밥 의성 마늘햄 함양 연잎밥 문경 오미자 부안 오디 파주 장단콩 화천 토마토 등 농산물을 가공식품으로 개발한 예시가 있으며 지자체 농가 대기업 영농조합이 협력하여 지역특산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안정적 판로를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농가 소득 증대와 지역 브랜드 가치 향상이라는 효과를 얻고 있다
해외 사례에서는 일본에서 농업자 어업자 식품 및 유통업자가 참여한 와이너리 사업 복어의 콜라겐을 활용한 디저트 개발 지역 농산물 기반 칵테일 제조 등의 성공 사례가 소개되었다 이들은 각각의 자원을 융합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을 창출하고 있으며 잡어와 휴경지 활용 등 자원의 효율적 재활용을 통해 환경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농상공연대는 지역자원의 효율적 활용 농가 소득 향상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평가되며 상호 호혜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체계 구축이 핵심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농업의 자원을 연계한 사업모델은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함께 추진되어야 하며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정책 설계가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농상공연대는 농촌과 도시 1차와 23차 산업 간 경계를 허물고 상생의 경제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민관 협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목차
Ⅰ 농상공연대의 개념 및 유형
1 이론적 근거
2 농상공연대의 개념
3 농상공연대의 유형
Ⅱ 농상공연대 관련 정책
1 농림수산식품부 정책
2 중소기업관련 지원사업
Ⅲ 국내외 농상공연대 사례
1 국내사례
2 국외사례
1 이론적 근거
2 농상공연대의 개념
3 농상공연대의 유형
Ⅱ 농상공연대 관련 정책
1 농림수산식품부 정책
2 중소기업관련 지원사업
Ⅲ 국내외 농상공연대 사례
1 국내사례
2 국외사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유학열
충남농어업 6차산업화센터 개소기념 세미나 자료집 (김용렬,유학열,정제민) 2011. 06. 09
제1회 충남현장포럼(유학열) 2016. 03. 18
충남연구원-국책연구기관 간 상생·협력 모색 세미나(유학열, 송미령) 2015. 05. 28
충남 6차산업화 중간지원협의체 출범식(유학열) 2014. 04. 23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열린충남51호 2010.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