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저서,역서
홈 > 연구원간행물>발간도서(저서,번역서 등)>개인저서,역서
(출판)개인저서-개인저서 공저 - 누가 문화자본을 지배하는가? 한국 문화산업의 독점구조
- 기간
- 20150110 ~ 20150110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자
- 이윤종,장서희,강정석,오창은,이종임,최현용,한기호,김동원,강신규,윤영도,임태훈,이동연,최영화
목차
서문_ 누가 문화자본을 지배하는가? | 이동연(『문화/과학』 편집인,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제1부문화독점과 지배구조의 지형
1. 문화자본과 문화독점 | 이윤종(『문화/과학』편집위원, 성균관대학교 강사)
2. 콘텐츠 유통에서 나타나는 불공정 문제에 관한 고찰 | 장서희(법무법인 나눔 변호사)
3. 다양성을 품은 독점: 신자유주의 시대의 문화독점 전략 | 강정석(『문화/과학』편집위원, 한예종 강사)
4. 학술 문화자본의 지배구조와 한국연구재단 | 오창은(『문화/과학』편집위원, 중앙대학교 교수)
제2부문화자본의 현실분석
5. 국내 거대 미디어 기업의 등장과 미디어 시장구조의 변화 | 이종임(문화연대 미디어문화센터 운영위원, 고려대학교 강사)
6. 케이팝 제작 시스템의 독점 논리와 문화자본의 형성 | 이동연
7. 한국 영화산업 지배구조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최현용(한국 영화산업전략센터 소장)
8. 한국 출판시장 자본의 지배구조 | 한기호(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소장)
9. 지상파 방송의 사회자본 형성사와 현재의 위기 | 김동원(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강사)
10. 한국 게임산업의 재편: '넥슨(Nexon)'의 독점을 중심으로 | 강신규(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연구원)
제3부문화자본의 전 지구적 유동
11. 신서세동점기(新西勢東漸記)―중국 문화산업자본 글로벌화의 로컬 현상 | 윤영도(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 교수)
12. 국가의 한류정책과 한류 문화자본의 글로벌화 | 최영화(『문화/과학』편집위원, 충남발전연구원 문화관광디자인
연구부 책임연구원)
13. 시간의 파편을 사고파는 경제: '디지털 헬스케어'에 관하여 | 임태훈(문학평론가, 인문학협동조합 미디어운영위원장)
제1부문화독점과 지배구조의 지형
1. 문화자본과 문화독점 | 이윤종(『문화/과학』편집위원, 성균관대학교 강사)
2. 콘텐츠 유통에서 나타나는 불공정 문제에 관한 고찰 | 장서희(법무법인 나눔 변호사)
3. 다양성을 품은 독점: 신자유주의 시대의 문화독점 전략 | 강정석(『문화/과학』편집위원, 한예종 강사)
4. 학술 문화자본의 지배구조와 한국연구재단 | 오창은(『문화/과학』편집위원, 중앙대학교 교수)
제2부문화자본의 현실분석
5. 국내 거대 미디어 기업의 등장과 미디어 시장구조의 변화 | 이종임(문화연대 미디어문화센터 운영위원, 고려대학교 강사)
6. 케이팝 제작 시스템의 독점 논리와 문화자본의 형성 | 이동연
7. 한국 영화산업 지배구조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최현용(한국 영화산업전략센터 소장)
8. 한국 출판시장 자본의 지배구조 | 한기호(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소장)
9. 지상파 방송의 사회자본 형성사와 현재의 위기 | 김동원(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강사)
10. 한국 게임산업의 재편: '넥슨(Nexon)'의 독점을 중심으로 | 강신규(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연구원)
제3부문화자본의 전 지구적 유동
11. 신서세동점기(新西勢東漸記)―중국 문화산업자본 글로벌화의 로컬 현상 | 윤영도(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 교수)
12. 국가의 한류정책과 한류 문화자본의 글로벌화 | 최영화(『문화/과학』편집위원, 충남발전연구원 문화관광디자인
연구부 책임연구원)
13. 시간의 파편을 사고파는 경제: '디지털 헬스케어'에 관하여 | 임태훈(문학평론가, 인문학협동조합 미디어운영위원장)
내용
[책소개]
『문화/과학』편집위원회는 80호 발간을 기념하기 위해 뭔가 새로운 기획을 했으면 좋겠다는 내부 논의를 하던 중, 그동안 한 번도 시도해본 적이 없는 특별판을 단행본 형식으로 내자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처음으로 만드는 특별호 단행본의 주제를 '한국사회 문화자본의 독점 현실과 문화산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것으로 정했다.편집 문화과학 편집위원회|문화과학사 |2015.01.10
[출판사 서평]
● 계간『문화/과학』80호 발간 기념 특별 단행본으로 『누가 문화자본을 지배하는가?』출간!
● 한국 문화산업의 독점적인 지배구조를 본격적으로 파헤친 국내 최초의 책!
● 대중음악, 영화, 출판, 게임, 뉴미디어, 방송 등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독점의 형성과정과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분석!
● 특히 한국문화산업 내에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유통불공정 행위를 집중 분석!
● 학술과 뉴미디어 영역에서 야기되는 문화자본의 독점 문제도 조명!
● 한류문화자본과 중국 문화산업의 부상이 글로벌 문화자본 지형 내에서 어떤 지각변동을 일으키는가를 분석!
발간의 배경과 주요 문제의식
계간『문화/과학』편집위원회는 80호 발간을 기념하기 위해 뭔가 새로운 기획을 했으면 좋겠다는 내부 논의를 하던 중, 그동안 한 번도 시도해본 적이 없는 특별판을 단행본 형식으로 내자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문화/과학』은 오래 전부터 특집주제들 중에서 특별히 집중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거의 단행본에 가까울 정도로 기획한 적은 있지만, 별도의 특별호를 별도의 단행본으로 출간한 적은 없었다. 편집위원회 회의에서 몇 번의 논의를 거친 후에 처음으로 만드는 특별호 단행본의 주제를 '한국사회 문화자본의 독점 현실과 문화산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것으로 정했다. 2000년 이후 한류와 케이팝으로 대변되는 문화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분석하는 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대부분 산업적인 성과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대학교재 성격을 가진 책이나, 한류의 문화현상을 피상적으로 분석한 수준에 머물렀다. 한류와 케이팝을 경제적인 관점으로 분석한 책이든, 문화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책이든 하나는 문화, 다른 하나는 경제를 배제한 채로 기술되는 것이 일반적 방식이다. 문화산업이 어떤 방식으로 자본을 축적했고, 문화산업의 자본은 어떤 과정을 통해 재생산되는지에 대해 총괄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한국 문화산업의 특이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연구지점이다. 한국 문화산업의 글로벌 성장은 과거와는 달리 문화산업이 자기 시장 안으로 흡수?축적되면서 가능해졌다. 말하자면 한국 문화산업의 성장은 두 가지 조건이 있어서 가능했는데, 하나가 자본의 축적이고, 다른 하나는 자본의 독점이다. 자본 축적은 1990년대 말 김대중 정부의 문화산업 진흥정책에 의한 국가자본의 시장 투여를 통해 가능해졌다. 주지하듯이 김대중 정부는 정권 출범 초기부터 ...(하략)
『문화/과학』편집위원회는 80호 발간을 기념하기 위해 뭔가 새로운 기획을 했으면 좋겠다는 내부 논의를 하던 중, 그동안 한 번도 시도해본 적이 없는 특별판을 단행본 형식으로 내자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처음으로 만드는 특별호 단행본의 주제를 '한국사회 문화자본의 독점 현실과 문화산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것으로 정했다.편집 문화과학 편집위원회|문화과학사 |2015.01.10
[출판사 서평]
● 계간『문화/과학』80호 발간 기념 특별 단행본으로 『누가 문화자본을 지배하는가?』출간!
● 한국 문화산업의 독점적인 지배구조를 본격적으로 파헤친 국내 최초의 책!
● 대중음악, 영화, 출판, 게임, 뉴미디어, 방송 등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독점의 형성과정과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분석!
● 특히 한국문화산업 내에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유통불공정 행위를 집중 분석!
● 학술과 뉴미디어 영역에서 야기되는 문화자본의 독점 문제도 조명!
● 한류문화자본과 중국 문화산업의 부상이 글로벌 문화자본 지형 내에서 어떤 지각변동을 일으키는가를 분석!
발간의 배경과 주요 문제의식
계간『문화/과학』편집위원회는 80호 발간을 기념하기 위해 뭔가 새로운 기획을 했으면 좋겠다는 내부 논의를 하던 중, 그동안 한 번도 시도해본 적이 없는 특별판을 단행본 형식으로 내자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문화/과학』은 오래 전부터 특집주제들 중에서 특별히 집중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거의 단행본에 가까울 정도로 기획한 적은 있지만, 별도의 특별호를 별도의 단행본으로 출간한 적은 없었다. 편집위원회 회의에서 몇 번의 논의를 거친 후에 처음으로 만드는 특별호 단행본의 주제를 '한국사회 문화자본의 독점 현실과 문화산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것으로 정했다. 2000년 이후 한류와 케이팝으로 대변되는 문화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분석하는 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대부분 산업적인 성과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대학교재 성격을 가진 책이나, 한류의 문화현상을 피상적으로 분석한 수준에 머물렀다. 한류와 케이팝을 경제적인 관점으로 분석한 책이든, 문화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책이든 하나는 문화, 다른 하나는 경제를 배제한 채로 기술되는 것이 일반적 방식이다. 문화산업이 어떤 방식으로 자본을 축적했고, 문화산업의 자본은 어떤 과정을 통해 재생산되는지에 대해 총괄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한국 문화산업의 특이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연구지점이다. 한국 문화산업의 글로벌 성장은 과거와는 달리 문화산업이 자기 시장 안으로 흡수?축적되면서 가능해졌다. 말하자면 한국 문화산업의 성장은 두 가지 조건이 있어서 가능했는데, 하나가 자본의 축적이고, 다른 하나는 자본의 독점이다. 자본 축적은 1990년대 말 김대중 정부의 문화산업 진흥정책에 의한 국가자본의 시장 투여를 통해 가능해졌다. 주지하듯이 김대중 정부는 정권 출범 초기부터 ...(하략)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 담당자 : 정봉희 연락처 : 041-840-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