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연구회
홈 > 연구보고서>연구회>완료된 연구회
상권과 도시재생 연구회
- 기간
- 20240226 ~ 20241031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이민정
- 연구자
- 박철희,임준홍,윤정미,조봉운,김양중,사공정희,최정현,전수광,전춘복,김영수,제수진
- 파일다운로드
- (양식)연구회 활동결과보고서_상권과도시재생연구회 v1.pdf
목차
I. 2024년 주요 활동 실적
II. 활동 세부내용
1. 태백시 마을관리 협동조합 현장세미나
2. 태백시 화신촌사람들협동조합 현장세미나
3. 청주시 육거리시장 현장탐방
4. 안동시 도시재생 사례 현장탐방
5. 공주시 산성시장 활성화사업 현장세미나
6. 2024 도시지역 혁신 산업박람회 참관
III. 연구회 구성원 피드백
II. 활동 세부내용
1. 태백시 마을관리 협동조합 현장세미나
2. 태백시 화신촌사람들협동조합 현장세미나
3. 청주시 육거리시장 현장탐방
4. 안동시 도시재생 사례 현장탐방
5. 공주시 산성시장 활성화사업 현장세미나
6. 2024 도시지역 혁신 산업박람회 참관
III. 연구회 구성원 피드백
내용
태백시 탄탄마을관리협동조합은 도시재생 종료 이후 문화예술 기획 경험을 바탕으로 협동조합을 조직하고, F&B, 문화예술 용역 등 다양한 사업모델을 추진 중이다. 지역 내 도서관, 미술관, 기록관 등을 연계한 콘텐츠 거점화를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화신촌사람들협동조합은 석탄기금을 기반으로 창업 지원을 받아 마을 이벤트와 집수리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탄탄마을관리와 협력하여 탄광 소재의 콘텐츠 개발을
준비 중이다. 두 협동조합은 로컬브랜딩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사례로 주목받는다.
청주시 육거리시장은 테마구역과 특화 서비스를 통해 상권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주차 편의성과 다양한 품목이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안동시 도시재생 사례는 특화거리, 창업공간, 음식문화거리 등을 조성해 도심경제 활성화를 추구하며, 민관학 협력과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도시재생의 모델을 제시한
다.
공주시 산성시장 사례는 공간 콘텐츠 특성화 전략을 중심으로 골목상권을 재정비하고, 지역공모사업 참여를 통해 상권의 정체성과 장소성을 강화하고 있다.
연구회는 느슨한 참여 구조 아래 선진사례를 탐방하고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며, 상권과 도시재생을 융합한 다양한 현장모델 발굴을 통해 충남 지역의 실천적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화신촌사람들협동조합은 석탄기금을 기반으로 창업 지원을 받아 마을 이벤트와 집수리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탄탄마을관리와 협력하여 탄광 소재의 콘텐츠 개발을
준비 중이다. 두 협동조합은 로컬브랜딩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사례로 주목받는다.
청주시 육거리시장은 테마구역과 특화 서비스를 통해 상권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주차 편의성과 다양한 품목이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안동시 도시재생 사례는 특화거리, 창업공간, 음식문화거리 등을 조성해 도심경제 활성화를 추구하며, 민관학 협력과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도시재생의 모델을 제시한
다.
공주시 산성시장 사례는 공간 콘텐츠 특성화 전략을 중심으로 골목상권을 재정비하고, 지역공모사업 참여를 통해 상권의 정체성과 장소성을 강화하고 있다.
연구회는 느슨한 참여 구조 아래 선진사례를 탐방하고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며, 상권과 도시재생을 융합한 다양한 현장모델 발굴을 통해 충남 지역의 실천적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