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중국연구동향

> 연구원간행물>종간

남을 비방하는 말, 비속어, 음란성 글, 광고성, 실명을 사용하지 않은 글은 관리자 임의로 바로 삭제합니다.

중국 서비스시장 유망 진출 분야와 수출 전략(Kita, 심혜정)
중국 서비스시장 유망 진출 분야와 수출 전략(Kita, 심혜정)
작성자 전춘복 작성일 2019. 03. 05
조회수 731
파일
중국의 서비스 시장규모는 과거 10년간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2013년 이후 부터 중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서비스 수입국으로 부상하였다. 전체 GDP
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58%에 이르는 한편 서비스 고용 비중도 전체 고용인원 대비 절반을 넘어서면서 산업구조가 서비스업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소득 증대, 삶의 질 향상, 여가중시 성향 등에 따라 자국 내 서비스 수요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도 중국형 서비스 양성과 자국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서비스업 발전전략을 추진하면서 향후 중국 서비스시장의 성장성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중국 서비스산업의 높은 성장 기대로 글로벌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전망된다. 우리나라는중국과문화적, 지리적으로접근성이높고, 기체결한 한·중 FTA(2015.12월)을 통해 양국간 서비스 협력 발판을 마련하여 여타 경쟁국에비해비교적진출이유리할것으로전망된다. 향후중국의인구구조변화, 소득 증대, 문화소비 성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유망 서비스 진출 분야로는 의료 및 헬스케어, 문화콘텐츠, 교육/이러닝, 관광, 디자인 등 다섯 가지 분야를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이들 분야에 이미 기업들이 진출하여 시장선점 및 안정
적인 유통망 구축을 위해 힘쓰고 있다.
중국은 자국 서비스 발전을 위해 외자유치를 확대하고자 하면서도 동시에 규제수준이 높아 해외기업의 진출이 쉽지 않은 시장이다. 중국 정부는 대부분 서비스
분야에서 현지 기업과의 합자형태로 해외기업 진출을 허용한 상태이며, 이에 우리기업들은 안정적인 수출기반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중국 서비스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수출기업과 정부의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정부는 지재권 보호, 과도한 규제 완화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한중간 서비스부문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특히2019년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에서 중국 서비스시장 진입장벽을 완화
하는데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수출기업들은 현지화 전략, 틈새시장 발굴, 서비스업의 스마트화, 현지 파트너십 강화 등을 통해 차별화된 전략을 구사할필요가 있다.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