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충남연구원, 전국 31개 연구기관과 지역이민정책연구네트워크 본격 가동
충남연구원, 전국 31개 연구기관과 지역이민정책연구네트워크 본격 가동 - 18일, 이민정책 공동연구 교류 협약 체결...지역이민정책 개발·제안 등 공론화 추진 - 충남연구원은 18일 서울남부출입국·외국인사무소에서 이민정책연구원을 비롯한 전국 광역자치단체 산하 31개 연구기관과 지역이민정책 공동연구 및 정책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역이민정책의 현황과 문제 해결 방안 등을 공론화하고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네트워크를 본격 가동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에 각 기관들은 △지역이민정책 공동연구 및 정책개발 △연구성과 공론화 및 확산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 지역이민정책 전략과 과제 공동 제안 △지식·정보 공유를 위한 운영위원회 설치 등 상시 소통 채널 운영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먼저, 이민정책연구원은 지역이민정책연구네트워크를 이끌면서, 제4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2023-2027)의 중점과제인 ‘이민행정 전문성 및 연구기반 확충’을 위해 기획된 ‘민-관-학 합동 연구기반 마련’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게 될 예정이다. 전희경 충남연구원장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각 지자체 차원의 이민정책 수립·실행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라며 “이번 협약 체결은 중앙정부·지자체의 일관성있는 이민정책 추진은 물론 충남지역을 비롯한 각 지역별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서, 협력적인 정책연구 수행의 시너지 제고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날 협약 체결 후에는 범무부와 지역이민정책연구네트워크가 공동으로 “2025 이민정책포럼”을 개최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역기반 이민정책으로 꼽히는 3가지 비자정책(계절근로자제도, 지역특화비자제도, 광역형비자제도)이 실제 각 지자체 차원에서 어떻게 적용·운영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공유하고, 중앙과 지자체 이민정책의 효과적인 추진 전략과 상호 협력 방안을 중점 토론했다. [참고] 지역이민정책연구네트워크 현황 (총32개 기관, 가나다순) 강원연구원, 강원특별자치도여성가족연구원, 경남연구원, 경남여성가족재단, 경북연구원, 경북여성정책개발원, 경기연구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광주연구원, 광주여성가족재단, 대구정책연구원, 대구광역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대전세종연구원, 부산연구원, 부산여성가족과 평생교육진흥원, 서울연구원,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울산연구원, 울산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 이민정책연구원, 인천연구원, 인천여성가족재단, 전남연구원, 전남여성가족재단, 전북연구원, 전북여성가족재단, 제주연구원,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충남연구원, 충남사회서비스원, 충북연구원, 충북여성재단. 이상.
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