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협력단이란?
시군이 좋은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충남연구원의 전문성을 지원하는 제도
정책협력단 비전
시군과의 상시적 소통으로 원활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
추진 배경
- (국비확보 등 지역핵심사업의 정책적 공조) 지자체간 무한경쟁 속에서 국비(도비)확보를 위한 다각적 지원 및 공동 대응
- (시군의 특화된 정책사업 발굴 지원) 정책환경변화, 새로운 여건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한 차별화된 정책사업의 발굴과 적용
- (도, 시·군의 상생발전 및 연구원의 역할 정립) 연구원내 충청남도 및 각 시군의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한 시군 밀착형 지원 추진
- 지방행정의 취약한 연구기능과 전문가 네트워크 지원을 통한 지역민, 지자체가 원하는 실사구시형 연구결과 창출
정책협력단 구성 및 운영방향
- (시군별 전담연구원 편성 및 운영) 시군의 특성에 맞도록 분야별 전문가로 이루어진 개별 전담연구진 편성 및 운영
- - 각 시군별 특성에 맞도록 경제, 지역개발, 환경, 문화 등의 전담연구원 배치
- (정책기획·연구·지원의 토탈지원체계 구축) 시군별 정책니즈에 대응하여 정책검토 및 컨설팅 → 연구수행·워크숍 개최 등 체계적 지원
- (정책협력단의 운영 지원) 연구실과 기획경영실 합동운영을 통한 시군의 정책지원의 영역 확대 및 책임성 강화
운영근거
- - 지방자치단체출연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 - 충남연구원 설립 및 운영·지원에 관한 조례 제3조(사업)
- - 충남연구원 정관 제2조(목적)
충남연구원은 도, 시·군정 전반에 대한 과제를 연구하여 유용한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정책협력단 추진방안
- (시·군에 대한 맞춤형 지원) 시군의 차별화된 정책수립과 추진을 다양한 형태의 정책협력 사업 추진(사업범위에 대한 사전협의)
- (연구원 인력 네트워크 지원) 시군별 전담연구원외 연구원 인력 지원
- - 필요시, 원내 부서의 전문분야별 박사급인력과 석사급인력에 대한 지원 및 외부 전문가 연계
- ※ 원내 전문분야별 연구원의 중앙 및 지방의 200여개 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
- (출연금 지원) 과제별 연구소요경비에 대한 협의후 추진
- ※ 과제 추진과정상 추가적 경비 발생시 연구원에서 부담(소요비용 과다시 협의 추진)
정책지원분야 및 주요과제
분야 | 과제 | 내용 |
---|---|---|
정책기획 | 정책기획 워크숍 |
|
정책연구 | 정책협력과제 |
|
연구과제 |
|
|
정책지원 | 워크숍/세미나 등 |
|
국제교류 |
|
행정사항
시·군 협력과제 지원 절차
과제요청
시·군 제안 또는
수요조사 실시
수요조사 실시
▶
1차 검토
정책협력단 및
관련분야 연구원
관련분야 연구원
▶
2차 검토
연구조정위원회
(시·군과제 및
연구책임선정)
(시·군과제 및
연구책임선정)
▶
최종확정
원장
▶
과제진행
과제 편성 및 연구수행
(계획서 작성 전 시군협의 必)
(계획서 작성 전 시군협의 必)
시·군 출연금 진행 절차
출연금 수립 유·무
출연금 수립관련 유·무
▶
출연금 신청
연구원 → 시․군 출연금 신청(교부신청서 등)
▶
출연금 입금
시·군 → 연구원 출연금 지원
시군별 팀장 및 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