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중국연구동향

> 연구원간행물>종간

남을 비방하는 말, 비속어, 음란성 글, 광고성, 실명을 사용하지 않은 글은 관리자 임의로 바로 삭제합니다.

한국과 주요국의 對中 수출 공급경로 비교 분석(KITA, 강내영 외 1인)
한국과 주요국의 對中 수출 공급경로 비교 분석(KITA, 강내영 외 1인)
작성자 전춘복 작성일 2019. 06. 16
조회수 534
파일
최근 중국의 대내외 환경변화로 인해 對중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제조업 국가들의 수출 부진이 우려되고 있다. 대내적으로 중국은 내수기반 경제구조로의 전환 및
중간재 자급률 제고를 통해 가공무역 및 중간재 수입 비중을 지속적으로 줄여 나가고 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미·중 무역 갈등이 고조됨에 따라 양국의 상호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높아지면서 글로벌 교역환경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의 내수 중심 성장전략 및 미·중간 통상압력 심화로 인해 중국의 중간재 수요는 향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한 직·간접적인 효과는 중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을 중심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본 보고서는 중국의 대내외 환경 변화로 인한 주요국의 對中 수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해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對中 수출 공급경로를 비교 및 분석했다. 중국의 주요 수입국인 한국, 일본, 대만, 독일, 미국의 對中 수출을 제조업종별 및 최종 귀착지별로 분해해 봄으로써 각국의 對中 수출이 궁극적으로 어느 나라의 최종수요에 의해 창출되었는지 분석했다.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