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디자인충남 5호
출판

디자인충남 5호

기간
2017. 07. 03 ~ 2017. 12. 29
연구자
오병찬,방재성,박혜은,김성희
키워드
도시재생,뉴딜정책,공공디자인,주거지재생,지역경제,협동조합,공간환경,디자인혁신
다운로드

디자인충남 5호 내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도시재생은 근대 산업 중심 도시에서 지속 가능성과 문화 친환경적 가치로 전환하며 다양한 국가들이 각기 다른 역사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고유한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유럽은 낡은 산업시설과 도시 자원을 예술과 공공공간으로 재해석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일본은 주민 주도의 마찌쯔꾸리 방식으로 도시를 개조하고 있으며 중국은 개발과 보존을 병행해 도시의 역사성과 현대성을 조화시켰다
한국은 산업화 이후 사유지를 중심으로 한 도시개발로 인해 공공시설이 부족한 상태에서 도시재생이 시작되었고 벽화 가로 정비 CCTV 설치 등으로 사업이 획일화되는 문제를 겪고 있다
도시재생 뉴딜정책은 공공임대주택과 기초생활 인프라 정비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지역 자산과 특성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정책 실현을 위해 지역주민의 참여와 책임 부여 부담 가능한 공간 운영 지역 자산 활용 일자리 창출 고품질 공간환경 조성 등 7가지 추진 원칙이 강조되고 있다
도시재생은 단기적 사업이 아닌 장기적 도시운동으로 시민 중심의 유기적 관계망과 공공성과 디자인 조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삶의 공간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목차

특집 도시재생
1 인간적 도시재생 제고
2 도시재생 뉴딜정책 시행을 위한 과제와 추진방향
Review 국내외 선진사례
1 몬드리안의 조형방식이 적용된로테르담 도시 디자인
2 공공시설물과 디자인
3 건축과 조경의 하모니 게티센터Getty Center
4 부여군 신동엽 문학관
Level up 컨설팅 사례
1 서해안 유류피해극복기념관 전시디자인
2 당진문화원 생활문화센터 조성사업
3 예천초등학교 내부 색채디자인
4 세도중학교 학생친화적 환경조성사업
5 당진 오수처리집하장 디자인 개선사업
6 홍성군의회 차량 색채디자인계획
Team 태안군
1일상의 삶에서 함께하는 공공디자인
국내 정책동향
1 중앙부처
2 광역지방자치단체
3 충청남도 및 15개 시군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