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충남정책지도 제17호) 충남의 주요하천 오염원인 분석
출판/충남정책지도

(충남정책지도 제17호) 충남의 주요하천 오염원인 분석

기간
2017. 11. 29 ~ 2017. 11. 29
연구자
김홍수,최정호,박상현,조병욱
키워드
생활하수,축산폐수,산업폐수,토지배출,수질개선,충남하천,BOD,오염기여율
다운로드

정책지도17호_충남의 주요하천 오염원인 분석_2017.11(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의 주요 하천 수질오염은 생활하수가 약 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축산폐수와 토지에서 유입되는 배출수 산업폐수 등이 뒤를 잇는다 각 오염원은 하천별로 기여율이 달라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
천안천 성환천 아산천 온천천 등은 생활하수로 인한 오염 기여율이 높으며 하수처리시설이 부족하거나 미처리 구간이 존재해 수질개선을 위한 1순위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홍성군 금리천 아산시 둔포천 등은 축산폐수로 인한 오염이 주요 원인으로 축사 밀집 지역과 가축사육 증가가 배출량 증가의 배경이다 축산폐수의 공공정화처리 유도가 핵심 과제로 제시된다
서산시 청지천 천안시 천안천 등은 대지면적 증가와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오염이 나타났으며 토지유출수와 산업폐수의 복합적 영향이 확인되었다 특히 산업폐수는 대부분 처리되지만 처리되지 않은 소량이 하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질개선 목표는 BOD 기준 Ⅱ등급약간 좋음 이상을 달성하는 것이며 2013년 511에서 2020년 644 달성이 목표로 설정되었다 이를 위해 하수도 기반시설 확충과 오염원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
충남의 수질개선은 하천별 오염원 특성을 고려한 우선순위 설정과 지역 맞춤형 대책이 관건이며 생활하수는 하수처리시설 설치 확대 축산폐수는 공공정화처리 유도 복합원인은 통합 관리체계 구축이 해법으로 제시된다

목차

1 하천의 수질 악화지역과 오염물질 배출량 분포
2 수질오염 원인 분석Ⅰ 생활하수
3 수질오염 원인 분석Ⅱ 축산폐수 및 분뇨
4 수질오염 원인 분석Ⅲ 산업폐수공장
5 수질오염 원인 분석Ⅳ 토지대지 도로 농경지 등
6 수질개선 우선순위 선정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