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충남의 유인도는 33개 무인도는 235개이며 태안군이 섬과 갯벌 면적 모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전체 해안선 길이는 1242km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길다
어업가구와 어가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경영주 평균 연령은 631세로 고령화가 심각하다 그럼에도 어촌계와 자율관리공동체는 증가하고 있다
충남의 어가 수는 전국의 161 어업인구는 153로 전국 23위 수준이며 태안군과 보령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어촌계는 167개소 어촌체험마을은 10개소가 운영 중이다
수산물 생산은 일반해면어업 비중이 높으며 전체 생산금액 중 약 73를 차지한다 낚시어선은 전국의 268가 충남에 있으며 낚시 수입은 연 688억 원 규모다
어업경영비는 10년간 약 93 상승했고 어가부채도 증가해 경영 부담이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2008년 이후 어가소득이 농가소득을 초과해 소득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내수면 어업권은 679건이며 아산시와 태안군에 집중되어 있다 양식어업권은 패류가 가장 많고 면적은 1만 8천 ha에 달하며 충남 수산업은 전국 생산량의 약 38를 차지한다
어업가구와 어가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경영주 평균 연령은 631세로 고령화가 심각하다 그럼에도 어촌계와 자율관리공동체는 증가하고 있다
충남의 어가 수는 전국의 161 어업인구는 153로 전국 23위 수준이며 태안군과 보령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어촌계는 167개소 어촌체험마을은 10개소가 운영 중이다
수산물 생산은 일반해면어업 비중이 높으며 전체 생산금액 중 약 73를 차지한다 낚시어선은 전국의 268가 충남에 있으며 낚시 수입은 연 688억 원 규모다
어업경영비는 10년간 약 93 상승했고 어가부채도 증가해 경영 부담이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2008년 이후 어가소득이 농가소득을 초과해 소득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내수면 어업권은 679건이며 아산시와 태안군에 집중되어 있다 양식어업권은 패류가 가장 많고 면적은 1만 8천 ha에 달하며 충남 수산업은 전국 생산량의 약 38를 차지한다
목차
I 충남의 섬과 갯벌
II 충남의 항만과 해수욕장
III 우리나라 어촌의 변화
IV 충남 어촌의 현위치
II 충남의 항만과 해수욕장
III 우리나라 어촌의 변화
IV 충남 어촌의 현위치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지연
서해안권 해양수산 공동상생 발전을 위한 토론회(CNI세미나2017-167) (양창모,강길모,전승수) 2017. 12. 13
충남형 어촌특화 발전모델 구축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8-008)(이승길,김종화) 2018. 02. 28
아산시 농촌지역 인구 실태 분석 및 전망 2024. 04. 30
충청남도 갈등관리 실태조사 및 유형화 연구 2007. 01. 0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
김종화
4차산업혁명 대응 충남 해양수산 인프라 구축 토론회(CNI세미나2017-069) (조정희, 김종화) 2017. 06. 21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로컬푸드?6차산업 공동체 연계를 통한 지역 선순환'심포지엄(박찬욱,박근엽,한영미,김원일,한상배,이관률,김종화,타마루요시히로) 2015. 12. 03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