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충남정책지도 제19호) 한국은행 지역산업연관표로 본 충남 농축산업의 변화('05~'13)
출판/충남정책지도

(충남정책지도 제19호) 한국은행 지역산업연관표로 본 충남 농축산업의 변화('05~'13)

기간
2017. 12. 28 ~ 2017. 12. 28
연구자
임재영,이종윤
키워드
충남,농축산업,부가가치,생산성,지역산업연관표,취업자,소비구조,농가인구
다운로드

정책지도통권19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의 농축산업은 1차산업에서 901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20052013년간 부가가치가 연평균 05 증가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전국 농축산업 부가가치 비중에서도 146로 3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농축산업 취업자는 연평균 32 감소했고 농가 수는 15 농가 인구는 28 줄어드는 등 구조적 축소가 진행됐다 반면 농가 1호당 생산성은 연 21 1인당 생산성은 34 증가했다
농축산물 중 618는 타지역으로 소비되고 지역 내 소비율은 382에 불과해 외부 의존도가 높다 서울이 충남 농축산물 소비의 171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충남의 농축산업 부문별 부가가치는 농업과 축산업이 주를 이루며 특히 축산 비중이 증가세다 농림어업지원서비스업과 수산물 기타 부문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다
농축산업 종사자들의 임금인 피용자 보수는 연평균 66 증가해 전국 평균인 32를 크게 상회했다 취업자 1인당 평균임금 증가율도 101로 전국 평균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전체적으로 충남 농축산업은 인구와 농가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생산성과 임금 수준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왔으며 향후 지역 내 소비율 확대와 타지역 의존도 완화가 과제로 제시된다

목차

1 충남 1차산업의 규모 및 비중 변화
2 충남 1차산업 부문별 규모 및 비중 변화
3 충남 농축산업 비중과 연평균증가율
4 충남의 농축산물 어느 지역에서 소비되고 있는가
5 충남 농축산업 취업자 수 변화
6 충남 농축산업 피용자보수임금 변화
7 충남 농가 수 변화
8 충남 농가인구 변화
9 충남 농축산업 생산성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