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기본
도심 거주의향과 지역 내 소비지출에 관한 실증분석 : 내포신도시 주변도시 도심거주민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 기간
- 2017. 01. 02 ~ 2018. 01. 31
- 연구책임자
- 임준홍
- 키워드
- 도심,도심거주,소비지출액,내포신도시,주변지역

내용
본 연구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서는 타 지역으로부터의 인구유치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원주민들을 위
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이루어 졌다 실증분석은 내포신도시와 인접하여 도심공동화 현상이 우려
되는 홍성군과 예산군의 원도심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원도심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고령자와 단독주택 거주자였으며 반면 내포신도시
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사람은 30대와 고소득자였다 이에 우선적으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주거정책 개발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한 주거지 정비가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활발한 경제주체인 30대와 고소득자의 주거
이탈을 줄이기 위한 전략도 요구된다 특히 이탈자 1인당 연간 553만원에 해당하는 원도심에서의 소비지
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주민 이탈이 계속될 경우 상권약화는 물론 지역경제를 근본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
이에 지방정부는 인구감소 및 인구구조 변화 한정된 예산의 적절한 배분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대한
고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시재생정책 방향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이루어 졌다 실증분석은 내포신도시와 인접하여 도심공동화 현상이 우려
되는 홍성군과 예산군의 원도심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원도심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고령자와 단독주택 거주자였으며 반면 내포신도시
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사람은 30대와 고소득자였다 이에 우선적으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주거정책 개발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한 주거지 정비가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활발한 경제주체인 30대와 고소득자의 주거
이탈을 줄이기 위한 전략도 요구된다 특히 이탈자 1인당 연간 553만원에 해당하는 원도심에서의 소비지
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주민 이탈이 계속될 경우 상권약화는 물론 지역경제를 근본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
이에 지방정부는 인구감소 및 인구구조 변화 한정된 예산의 적절한 배분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대한
고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시재생정책 방향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분석자료와 분석의 틀
4 내포신도시 개발이 주변 도시에 미치는 영향
5 도심 거주의향과 소비지출액
6 결론 및 정책제언
2 선행연구 검토
3 분석자료와 분석의 틀
4 내포신도시 개발이 주변 도시에 미치는 영향
5 도심 거주의향과 소비지출액
6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준홍
도시재생과 재원확보 그리고 크라우드펀딩(CNI세미나2017-080) (이재우, 임준홍,김지훈) 2017. 07. 06
태안군 공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98) (홍규선, 김진영, 임준홍) 2017. 08. 17
아산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방안 모색 워크숍(김륜희, 임준홍) 2016. 06. 24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충남연구원-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 공동 전문가 세미나(임준홍,홍병곤) 2015. 12. 04
지방도시 인구감소 대응 정책에 대한 한일 국제세미나(CNI세미나2017-132) (임준홍,Nobuhiko KOMAKI) 2017.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