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금산인삼 농업유산지역의 모니터링 지표개발 연구
현안

금산인삼 농업유산지역의 모니터링 지표개발 연구

기간
2017. 11. 02 ~ 2017. 12. 29
연구책임자
유학열
키워드
금산,인삼농업유산,모니터링,농업유산,지표,생물다양성,경관,관리
다운로드

금산인삼농업유산지역의모니터링지표개발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농업유산은 오랜 기간 지역 특성과 전통에 기반해 형성된 농업시스템과 경관을 포함하며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금산 인삼농업은 후세 계승을 위해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운영체계 보전 활용의 세 영역에서 지표를 제시한다
운영체계 지표는 전담 공무원 인력 운영위원회 활동 조례 제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니터링 결과 환류 중장기 관리계획 수립 여부 등으로 구성되며 금산군은 일부 항목에서 초기 단계이나 기본 인프라는 마련 중이다
보전 지표는 인삼 관련 작목의 재배현황 전통 농업기술의 유지 생물다양성 현황 경관 변화 전통문화 발굴 등이며 자가채종 선태식물 조사 고유종 파악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일부 지표는 현재 진행 중이며 지속적 정비가 요구된다
활용 지표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효과로 나뉘며 인삼 관련 상품개발 농가소득 변화 관광객 수 지역 이미지 향상 주민조직 활동 전통재배지 복원 현황 등을 포괄한다 금산엑스포 등을 계기로 관광 효과가 관측되었다
일본과 중국의 농업유산 모니터링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금산지역에 적합한 방식으로 현장 실사 자기평가 주민참여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지표 설정 시 지역 특성과 전통 농업 방식의 반영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된다
모니터링 수행 주체는 금산군 전문기관 인삼연구회 주민협의체 등으로 설정되며 자발적 주민참여와 정보 공개 신속한 피드백 체계를 갖춘 실행 가능한 관리모델이 필요하다고 결론짓는다

목차

1 농업유산과 모니터링의 개념
2 농업유산지역 모니터링 개요
3 외국 농업유산 모니터링 지표
4 금산인삼농업유산지역의 모니터링 지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