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통합집중형 오염지류하천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현안

통합집중형 오염지류하천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기간
2017. 12. 20 ~ 2017. 12. 31
연구책임자
오혜정
연구자
백승희
키워드
오염지류하천,성환천,봉황천,수질개선,수생태계,하수처리시설,비점오염,생태하천복원
다운로드

통합집중형 오염지류하천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성환천은 천안 지역을 통과하며 수질은 BOD 기준 Ⅴ등급연평균 84mgL으로 매우 오염된 상태다 하천과 저수지 수질 모두 낮으며 부착조류TDI 저서성무척추동물BMI 어류지수FAI 등 수생태계 건강성도 전반적으로 E등급으로 악화되었다
주요 오염원은 생활계389 토지계299 산업계178 축산계134 순이며 점오염과 비점오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하수관거 미정비 지역과 업성저수지 수질악화가 문제로 지적되었다
개선대책으로는 성환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15만일 지류하천 생태복원131 생태습지 조성7000이 제시되며 총 국고기준 665억 원이 소요된다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수변 식생과 주민참여 네트워크 구성도 병행 제안되었다
봉황천은 금산군 일대를 흐르며 대청호 상류 금강 수계로 수질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BOD 평균 12mgL Ⅰb등급 하지만 기사천금산천 등 일부 지류는 수질이 낮고 농경지축산지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이 심각하다
오염원 분석 결과 봉황천은 비점오염 비중이 892로 압도적이며 토지계61와 축산계287가 주요 원인이다 개선 우선순위도 비점오염 중심이며 금산천 도심 구간의 미처리 생활하수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봉황천 개선대책은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증설2개소 소규모 인공습지 조성3개소 기사천 생태하천복원15 축사지역 저류지 설치5000로 구성되며 총 470억 원이 투입된다 금강 수질 보호를 위한 통합적 대책 필요성도 강조되었다

목차

1 성환천 통합집중형 오염지류 선정 신청서
2 봉황천 통합집중형 오염지류 선정 신청서
3 연구개요
4 연구목적
5 과업내용
6 유역현황 분석
7 수질현황
8 수생태계 건강성
9 인구밀집 지역과의 인접성
10 지자체 개선계획
11 주요 오염원인
12 주요 개선방안
13 통합지원 필요성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