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서비스산업 고도화는 고용과 부가가치 증대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며 충남은 주력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불확실성으로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인구구조 변화 4차 산업혁명 지능정보기술 확산 등도 서비스산업 전환의 배경이다
정부는 의료 관광 콘텐츠 교육 금융 소프트웨어 물류 등 7대 유망 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제를 육성하고 있으며 충남도 이에 발맞춰 대응이 필요하다 국정과제에서도 사회서비스 인프라 구축과 ICT 기반 산업의 강화가 강조됐다
충남 서비스산업 종사자 비율은 613로 제조업보다 높지만 매출액은 제조업이 약 25배 더 많다 도소매업 교육서비스업 보건복지서비스업 등에서 매출 증가세가 높았고 금융보험업은 감소세를 보였다
향후 집중 육성 산업으로는 출판정보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음식점업 등이 선정됐다 이들은 기술융합 지역문화 및 관광과 연계 가능성 자영업 창업 지속성 등의 요인이 반영됐다
반면 운수업 금융 부동산 사업지원서비스업 등은 자동화와 온라인 전환 등으로 고용 창출 한계가 예측되며 성장성은 있으나 일자리 창출에 제약이 있는 분야로 판단된다
서비스산업 발달이 도시지역에 집중된 반면 충남은 제조업 중심 구조로 융합이 미흡하고 인력과 예산이 분산된 점이 문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망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조직과 인프라 통합이 요구된다
정부는 의료 관광 콘텐츠 교육 금융 소프트웨어 물류 등 7대 유망 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제를 육성하고 있으며 충남도 이에 발맞춰 대응이 필요하다 국정과제에서도 사회서비스 인프라 구축과 ICT 기반 산업의 강화가 강조됐다
충남 서비스산업 종사자 비율은 613로 제조업보다 높지만 매출액은 제조업이 약 25배 더 많다 도소매업 교육서비스업 보건복지서비스업 등에서 매출 증가세가 높았고 금융보험업은 감소세를 보였다
향후 집중 육성 산업으로는 출판정보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음식점업 등이 선정됐다 이들은 기술융합 지역문화 및 관광과 연계 가능성 자영업 창업 지속성 등의 요인이 반영됐다
반면 운수업 금융 부동산 사업지원서비스업 등은 자동화와 온라인 전환 등으로 고용 창출 한계가 예측되며 성장성은 있으나 일자리 창출에 제약이 있는 분야로 판단된다
서비스산업 발달이 도시지역에 집중된 반면 충남은 제조업 중심 구조로 융합이 미흡하고 인력과 예산이 분산된 점이 문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망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조직과 인프라 통합이 요구된다
목차
Ⅰ 배경 및 목적
Ⅱ 정부 서비스산업 동향
Ⅲ 충남 서비스산업 현황
Ⅳ 향후전망 및 집중 육성산업 선정
Ⅴ 문제점 및 대응방안
Ⅱ 정부 서비스산업 동향
Ⅲ 충남 서비스산업 현황
Ⅳ 향후전망 및 집중 육성산업 선정
Ⅴ 문제점 및 대응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민정
충남도 환경위해시설 과세실현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016) (정종필,이민정) 2017. 03. 17
미세먼지 관련 지자체 역할확대방안 모색 워크숍(홍수열, 이민정) 2016. 08. 08
충남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모색(이민정,송기균) 2015. 04. 30
충남 소상공인 분야 워크숍-협력과 공유의 자영업생태계로 전환(이민정) 2015. 05. 12
충남 지역에너지 분야 워크숍-친환경에너지 생산과 소비로의 전환(이민정) 2015. 05. 20
2024 당진시 자동차산업 국제세미나 2024. 0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