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2018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정책지원

2018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기간
2018. 02. 01 ~ 2018. 12. 31
연구책임자
이상신
연구자
윤수향,윤종주,정석한,김아람
키워드
기후변화,충청남도,교육프로그램,미세먼지,적응대책,지속가능발전,신재생에너지,온실가스
다운로드

[최종보고서] 2018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도민의 기후변화 인식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18년 기후변화 교육지원 사업을 실시하였다 본 사업은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알리는 동시에 내포 친환경클러스터 체험교육 공무원 대상 교육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등을 포함해 교육의 폭을 넓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가 주관하여 다양한 교육 대상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교육은 연령별로 유아 초중고등학생 일반인 공무원 등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유아 대상 교육은 시청각 자료와 실습 위주의 체험 활동예 바람개비 만들기 북극곰 팝업북 만들기을 통해 기후변화와 재생에너지를 소개했으며 초중고등학생에게는 태양광 자동차 실험 탄소카드 놀이 등을 통해 기후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고등학생과 일반인은 심화 교육과 실생활 연계 교육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2018년 한 해 동안 총 6회의 기후변화 교육이 실시되었으며 교육 인원은 원아 175명 일반인 36명을 포함한 총 211명이었다 이 외에도 당진시청 세종시 보령시 등지에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14회 이상 강사를 파견해 온실가스 감축과 적응대책 이행평가 제도 등을 설명하는 실무 중심 교육을 병행했다 또한 대기환경 실태 미세먼지 저감 방안 등 지역 현안을 반영한 콘텐츠도 포함되었다
대표적인 교육 사례로는 내포풀꽃향기유치원 원아를 대상으로 한 푸르고 아름다운 지구가 위험해요와 시원한 바람과 함께하는 기후변화 이야기 프로그램이 있으며 실내외 체험 중심으로 구성되어 유아 눈높이에 맞춘 교육 효과가 높았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생활 미세먼지 저감 실천 교육은 충남 도민을 대상으로 한 미세먼지 인식 개선과 생활 속 실천 방안 제시를 통해 실질적 변화를 유도했다
하지만 보고서는 교육의 한계도 지적하고 있다 대부분의 교육이 1회성에 그쳤으며 주입식 강의 중심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교과 연계 미비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연계형 강의 도입 강연체험현장견학형 교육 확대 맞춤형 교육교재 개발 수료증 발급 강사 양성 및 전문성 확보 홈페이지 및 홍보 채널 다각화 등의 보완 방안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사업은 충남 도민의 기후변화 인식을 높이고 생활 속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한 사례로 평가된다 향후에는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교육 체계를 마련하고 지역 특성에 맞춘 차별화된 교육 콘텐츠 개발과 실효성 있는 평가 체계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제언된다

목차

1 교육사업 운영 배경 및 목적
2 교육프로그램
3 2018년 기후변화 교육 운영결과
4 대표 기후변화 교육 운영성과
5 기후변화 교육 기대효과
6 기후변화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