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소 축사는 평균 사육두수 28두 평균 면적 560이며 홍동면고덕면우성면이 중심지이다 사육밀도는 예산군 고덕면이 가장 높고 논산시 강경읍이 가장 낮다
돼지 축사는 평균 사육두수 1536두 평균 면적 1873이며 천북면과 은하면 오가면에 집중돼 있다 밀도는 오가면이 가장 높으며 태안군 소원면이 가장 낮다
닭 축사는 평균 사육두수 42058수 평균 면적 2276로 천안시 풍세면 성남면 성환읍에 집중돼 있다 사육밀도는 천안시 입장면이 가장 낮고 논산시 광석면이 가장 높다
시군별로는 홍성군이 모든 축종에서 상위권이며 천안은 닭 보령은 돼지 예산은 소 사육 중심지로 분석된다 축사 수와 사육두수 밀도 모두 지역별 편차가 뚜렷하다
이 분석은 충남도 제공 2017년 자료를 기반으로 했으며 가축질병 매몰지 생태환경 도시계획 연계 가능성이 있어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2 농가별 소 사육두수
3 읍면동 소 사육두수
4 농가별 소 축사면적
5 읍면동 소 축사면적
6 소 사육밀도개별 축사 단위
7 소 사육밀도읍면동 단위
8 돼지 축사 분포
9 농가별 돼지 사육두수
10 읍면동 돼지 사육두수
11 농가별 돼지 축사면적
12 읍면동 돼지 축사면적
13 돼지 사육밀도개별 축사 단위
14 돼지 사육밀도읍면동 단위
15 닭 축사 분포
16 농가별 닭 사육두수
17 읍면동 닭 사육두수
18 농가별 닭 축사면적
19 읍면동 닭 축사면적
20 닭 사육밀도개별 축사 단위
21 닭 사육밀도읍면동 단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최돈정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를 통한 공공정책 발굴을 위한 연구회(CNI세미나2017-025) (최영진,최돈정) 2017. 03. 27
2017 제2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33) (최돈정, 양규석, 나상일, 장동호, 김태우) 2017. 04. 26
2017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17) (이상옥,황명화,최진영,최돈정) 2017. 09. 18
2016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_마이크로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활용방안(최돈정, 박성인, 류홍철) 2016. 08. 31
2017 제10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53)(최진영,최돈정) 2017. 11. 27
충남연구원 개원22주년 기념세미나_데이터에 눈뜨다, 스마트 충청남도(CNI세미나-044)(김승범, 하도훈, 최돈정) 2017. 06. 15
-
김기흥
제6회 마지연 대화마당(천안) (구자인,조용재,박두호,안상욱,김기흥,이상열,윤재림) 2016. 08. 26
충남미래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마을학회 일소공도 공동 토론회(CNI세미나2017-072) 2017. 06. 24
충남리포트-(제288호) 충남 청년농업인 육성 실태 및 정책 방향 2017. 12. 22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제2회 동북아 농업유산 컨퍼런스 참가 및 농업유산 지역 조사 (일본 니이가타현) - 금산인삼농업유산 선진사례 2015. 06. 2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일본 교토부 도시민 농촌유치 사례조사(일본 교토) 2016. 10. 24
(해외출장보고서)베트남경제연구소 초청세미나 2019. 01. 24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