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충청남도는 2030년 온실가스 37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자체 계획을 수립 중이며 기초 지자체는 감축사업 발굴과 감축량 정량화 역량이 부족해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 이에 따라 감축량 산정 방식과 실제 사례를 제시해 정책 활용을 유도함
2020년까지 BAU 대비 30 감축 목표 아래 총 45개 세부사업을 추진 중이며 2018년 기준 약 61만 톤의 감축량이 예상됨 사업에는 가정 농축산 상업공공 임업 폐기물 등 다양한 부문이 포함됨
감축량 산정은 사업 목적과 실적에 맞춰 원단위를 적용하며 일부 사업은 정성적 평가로 감축량 산정에서 제외됨 산정 기준은 지자체 온실가스 통합관리 지침 국립환경과학원 등 다양한 출처 기반임
주요 사업 예로는 탄소포인트제 신재생에너지 보급 LED 보급 자전거 인프라 확충 그린카 보급 도시가스 확대 산림 바이오매스 보급 등이 있으며 각각 감축량 산정식이 제시되어 있음
정책 제언으로는 시군 단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재설정 신산업 연계형 감축계획 수립 감축량 정량화를 위한 통계 및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함 충청남도와 국가 간의 연계가 중요한 과제로 지적됨
실효성 있는 온실가스 감축 추진을 위해 통일된 원단위 기반 산정 체계 지역 맞춤형 사업 확대 감축 이행평가 제도화 정량성과 신뢰성 확보가 과제로 제시됨
2020년까지 BAU 대비 30 감축 목표 아래 총 45개 세부사업을 추진 중이며 2018년 기준 약 61만 톤의 감축량이 예상됨 사업에는 가정 농축산 상업공공 임업 폐기물 등 다양한 부문이 포함됨
감축량 산정은 사업 목적과 실적에 맞춰 원단위를 적용하며 일부 사업은 정성적 평가로 감축량 산정에서 제외됨 산정 기준은 지자체 온실가스 통합관리 지침 국립환경과학원 등 다양한 출처 기반임
주요 사업 예로는 탄소포인트제 신재생에너지 보급 LED 보급 자전거 인프라 확충 그린카 보급 도시가스 확대 산림 바이오매스 보급 등이 있으며 각각 감축량 산정식이 제시되어 있음
정책 제언으로는 시군 단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재설정 신산업 연계형 감축계획 수립 감축량 정량화를 위한 통계 및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함 충청남도와 국가 간의 연계가 중요한 과제로 지적됨
실효성 있는 온실가스 감축 추진을 위해 통일된 원단위 기반 산정 체계 지역 맞춤형 사업 확대 감축 이행평가 제도화 정량성과 신뢰성 확보가 과제로 제시됨
목차
I 온실가스 감축사업 선정과 감축 정량화 현황
II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사업과 감축실적
III 시사점 및 정책제언
II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사업과 감축실적
III 시사점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수향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기후변화 적응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21-11) 2021. 06. 04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제13호 2017. 07. 31
충청남도 2019~2020년도 녹색성장 계획 이행평가 2020. 10. 01
충청남도 기후위기대응 인식도 조사 2021. 05. 01
2020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0. 01. 01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