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충남지역 소상공인 업소 43991개 중 음식업이 419로 가장 많았고 소매업342 생활서비스업114 학문교육업47이 뒤를 이었다 개업 업소는 천안시 아산시 서산시 논산시 순으로 많았으며 계룡시 청양군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폐업 업소는 총 19255개로 소매업이 366 음식업이 307를 차지했고 생활서비스업과 학문교육업이 뒤를 이었다 폐업 역시 천안시와 아산시에 집중되었으며 농촌지역은 폐업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논산시 취암동 홍성군 홍성읍 천안시 신안동은 개업 업소 수가 가장 많았던 읍면동이며 폐업 수는 천안시 신안동 논산시 취암동 예산군 예산읍 순이었다 특히 아산시 온양1동은 개업 수가 폐업 수를 크게 초과했다
인구 증가와 업소 증가가 동시에 나타난 집계구는 전체의 약 215였으며 대표적으로 아산시 온양1동은 인구 1625명 증가와 업소 830개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홍성군 홍성읍은 인구가 줄었지만 업소는 오히려 늘어난 예외적 사례였다
주택 수 증가가 업소 수 증가로 이어진 경우는 약 264였다 아산시 둔포면 배방읍 태안군 태안읍 등에서는 주택 증가와 함께 업소도 크게 늘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주택 증가에도 불구하고 업소 수 변화가 없거나 감소했다
홍성군 홍성읍은 인구 및 주택 수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업소 수가 크게 증가한 대표적 사례다 이는 단순한 인구주택 증가가 소상공인 업소 수 증감의 유일한 변수는 아님을 시사한다
폐업 업소는 총 19255개로 소매업이 366 음식업이 307를 차지했고 생활서비스업과 학문교육업이 뒤를 이었다 폐업 역시 천안시와 아산시에 집중되었으며 농촌지역은 폐업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논산시 취암동 홍성군 홍성읍 천안시 신안동은 개업 업소 수가 가장 많았던 읍면동이며 폐업 수는 천안시 신안동 논산시 취암동 예산군 예산읍 순이었다 특히 아산시 온양1동은 개업 수가 폐업 수를 크게 초과했다
인구 증가와 업소 증가가 동시에 나타난 집계구는 전체의 약 215였으며 대표적으로 아산시 온양1동은 인구 1625명 증가와 업소 830개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홍성군 홍성읍은 인구가 줄었지만 업소는 오히려 늘어난 예외적 사례였다
주택 수 증가가 업소 수 증가로 이어진 경우는 약 264였다 아산시 둔포면 배방읍 태안군 태안읍 등에서는 주택 증가와 함께 업소도 크게 늘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주택 증가에도 불구하고 업소 수 변화가 없거나 감소했다
홍성군 홍성읍은 인구 및 주택 수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업소 수가 크게 증가한 대표적 사례다 이는 단순한 인구주택 증가가 소상공인 업소 수 증감의 유일한 변수는 아님을 시사한다
목차
1 충남 소상공인 개업 업소 분포201512201706 상위 4개 업종
2 충남 소상공인 개업 업소 분포201512201706 하위 4개 업종
3 충남 소상공인 폐업 업소 분포201512201706 상위 4개 업종
4 충남 소상공인 폐업 업소 분포201512201706 하위 4개 업종
5 소상공인 읍면동 개업 업소 분포
6 소상공인 읍면동 폐업 업소 분포
7 집계구별 인구 증가에 따른 소상공인 업소 수 변화
8 집계구별 인구 감소에 따른 소상공인 업소 수 변화
9 집계구별 주택 수 증가에 따른 소상공인 업소 수 변화
10 집계구별 주택 수 감소에 따른 소상공인 업소 수 변화
2 충남 소상공인 개업 업소 분포201512201706 하위 4개 업종
3 충남 소상공인 폐업 업소 분포201512201706 상위 4개 업종
4 충남 소상공인 폐업 업소 분포201512201706 하위 4개 업종
5 소상공인 읍면동 개업 업소 분포
6 소상공인 읍면동 폐업 업소 분포
7 집계구별 인구 증가에 따른 소상공인 업소 수 변화
8 집계구별 인구 감소에 따른 소상공인 업소 수 변화
9 집계구별 주택 수 증가에 따른 소상공인 업소 수 변화
10 집계구별 주택 수 감소에 따른 소상공인 업소 수 변화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최돈정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를 통한 공공정책 발굴을 위한 연구회(CNI세미나2017-025) (최영진,최돈정) 2017. 03. 27
2017 제2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33) (최돈정, 양규석, 나상일, 장동호, 김태우) 2017. 04. 26
2017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17) (이상옥,황명화,최진영,최돈정) 2017. 09. 18
2016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_마이크로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활용방안(최돈정, 박성인, 류홍철) 2016. 08. 31
2017 제10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53)(최진영,최돈정) 2017. 11. 27
충남연구원 개원22주년 기념세미나_데이터에 눈뜨다, 스마트 충청남도(CNI세미나-044)(김승범, 하도훈, 최돈정) 2017. 06. 15
-
박정환
제2차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한 공공정책 발굴 모색 워크숍(CNI세미나2017-054) (박정환,최진영) 2017. 06. 01
(충남정책지도 제22호) 소상공인 상가업소 수 현황과 변화 2018. 04. 09
서천군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수립 및 타당성 조사연구 2012. 07. 06
소방데이터를 활용한 소방력 배치방안 연구 2017. 06. 01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충남 민원 빅데이터 분석과 정책적 방안 제시 2017. 08. 30
충남의 가축매몰지 및 축사 입지환경 분석과 정책제언 2017.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