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0년까지 37 감축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방안으로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이 수립되었지만 충남은 석탄화력 중심 발전설비 증설로 인해 실질적 온실가스 감축이 어려운 상황이다
2016년 충남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8555만 톤으로 유연탄 소비 비중이 매우 높다 재생에너지 보급비중을 단순 적용하면 2030년까지 약 1052만 톤 감축이 가능하나 실제로는 설비 증설로 인해 오히려 2494만 톤 증가가 예상된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충남은 2025년까지 발전설비 증가와 함께 배출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며 연료 전환이나 노후 석탄화력 조기 폐쇄가 없을 경우 감축 효과는 미미하다
LNG 발전설비 확충에도 불구하고 유연탄 사용 비중이 여전히 높아 충남에서의 실질적 감축은 국가 차원의 집중적인 재생에너지 투자 없이는 어려운 실정이다
노후 석탄화력 조기 폐쇄 및 LNG 전환 시 약 1680만 톤의 감축 효과가 예상되며 이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충남은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신산업 육성단지 조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형평성 측면에서 지역 맞춤형 감축정책과 사업 확대가 필요하다
2016년 충남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8555만 톤으로 유연탄 소비 비중이 매우 높다 재생에너지 보급비중을 단순 적용하면 2030년까지 약 1052만 톤 감축이 가능하나 실제로는 설비 증설로 인해 오히려 2494만 톤 증가가 예상된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충남은 2025년까지 발전설비 증가와 함께 배출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며 연료 전환이나 노후 석탄화력 조기 폐쇄가 없을 경우 감축 효과는 미미하다
LNG 발전설비 확충에도 불구하고 유연탄 사용 비중이 여전히 높아 충남에서의 실질적 감축은 국가 차원의 집중적인 재생에너지 투자 없이는 어려운 실정이다
노후 석탄화력 조기 폐쇄 및 LNG 전환 시 약 1680만 톤의 감축 효과가 예상되며 이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충남은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신산업 육성단지 조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형평성 측면에서 지역 맞춤형 감축정책과 사업 확대가 필요하다
목차
I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재생에너지 3020
II 충청남도 발전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 추정
III 결론 및 정책제언
II 충청남도 발전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 추정
III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