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실질적 지방분권 실현을 위해서는 지역 차원의 정책지식 창출과 활용 역량이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정책지식 생태계의 개념과 분석틀이 필요함 생태계 개념은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함
충남의 정책지식 생태계는 지방자치 부활 지역경제 성장 민간조직 증가 등의 배경 속에 형성되었으며 도청 시군청 등 지방정부 지역연구기관 대학 시민단체 등이 주요 주체로 구성됨 이들은 각각 정책지식의 수요자 생산자 순환매체로 기능함
지역 정책지식 생태계는 중앙정책에 대한 지역 반응 정책 제안 지방 차원의 의사결정 등 세 유형으로 구분됨 사례로는 가로림만조력발전과 농업직불금 제도개선을 중심으로 분석이 진행됨
가로림만 사례에서는 국책연구기관이 높은 영향력과 신뢰도를 보였고 지역 시민단체는 현장지식 창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농업직불금 사례에서는 충남연구원이 지역 대표 기관으로서 현장 및 제도지식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냄
정책지식 순환 매체 중에서는 공공기관의 연구보고서와 토론회 세미나 등의 쌍방향 소통 매체가 영향력과 신뢰도 측면에서 높게 평가됨 지역 대학은 영향력에서 미약하여 향후 활성화가 필요함
정책 제언으로는 현장지식 중심의 생태계 강화 정책지식 주체 다양화 조기 논의구조 마련 정책지식 수요 주체 다원화 등이 제시됨 특히 지역 주민단체의 암묵지 보유 가능성을 정책자산으로 인식하고 육성할 필요성이 강조됨
충남의 정책지식 생태계는 지방자치 부활 지역경제 성장 민간조직 증가 등의 배경 속에 형성되었으며 도청 시군청 등 지방정부 지역연구기관 대학 시민단체 등이 주요 주체로 구성됨 이들은 각각 정책지식의 수요자 생산자 순환매체로 기능함
지역 정책지식 생태계는 중앙정책에 대한 지역 반응 정책 제안 지방 차원의 의사결정 등 세 유형으로 구분됨 사례로는 가로림만조력발전과 농업직불금 제도개선을 중심으로 분석이 진행됨
가로림만 사례에서는 국책연구기관이 높은 영향력과 신뢰도를 보였고 지역 시민단체는 현장지식 창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농업직불금 사례에서는 충남연구원이 지역 대표 기관으로서 현장 및 제도지식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냄
정책지식 순환 매체 중에서는 공공기관의 연구보고서와 토론회 세미나 등의 쌍방향 소통 매체가 영향력과 신뢰도 측면에서 높게 평가됨 지역 대학은 영향력에서 미약하여 향후 활성화가 필요함
정책 제언으로는 현장지식 중심의 생태계 강화 정책지식 주체 다양화 조기 논의구조 마련 정책지식 수요 주체 다원화 등이 제시됨 특히 지역 주민단체의 암묵지 보유 가능성을 정책자산으로 인식하고 육성할 필요성이 강조됨
목차
제1장 지역 차원의 정책지식 생태계
제2장 지역 정책지식 생태계 분석
제3장 사례분석 및 결과
제4장 정책 제언
참고자료
제2장 지역 정책지식 생태계 분석
제3장 사례분석 및 결과
제4장 정책 제언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홍원표
2017 제1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14) (홍성주,이석형,홍원표) 2017. 03. 09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제13회 충청중국포럼(홍원표) 2016. 08. 31
개원 20주년 학술 심포지엄-환황해권 시대 충남의 미래(윤용혁,송두범,홍원표,박인성) 2015. 06. 12
충청중국포럼 출범기념식 및 기념학술세미나(강희정, 홍원표, 이현우, 최철구) 2015. 05. 21
제21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37) (홍원표, 이문기, 길병성, 신현우, 최선묵, 최기봉) 2017. 05. 30
-
강수현
상암동 연료전지 발전설비 견학 및 관계자 워크숍 2015. 07. 24
온라인쇼핑거래 확대가 충남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2023. 08. 14
2021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22. 02. 21
코로나19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소득」의 효과 평가 연구 2020. 10. 05
중국인 입국관광객 충남 유치전략 2014. 10. 06
농업·농촌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선택형직불 확대방안 2020. 0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