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충청남도는 전국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11를 차지해 지역별 배출량 기준 2위를 기록했다 2015년 기준 충남의 비산먼지 배출량은 34289톤 생물성 연소에 의한 배출량은 3220톤이었다
비산먼지는 도로재비산290과 비포장도로285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축산활동153과 농업활동121이 뒤를 이었다 대부분 입자가 10 이상인 조대입자로 나타나 TSP 중심의 관리가 필요하다
생물성 연소에서는 농업잔재물 소각이 753로 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목난로 및 보일러 사용이 151 노천소각이 50였다 CO일산화탄소의 기여도가 65로 가장 높았다
비산먼지 배출 저감을 위해 도로재비산 억제 및 비포장도로 포장이 우선과제로 제시됐다 건설공사 현장 점검 축산시설 밀폐화 먼지 저감 설비 도입 등도 필요하다
생물성 연소는 농업잔재물의 마을 공동 퇴비화 바이오매스 연료화 화목보일러 기준 마련과 같은 마을 기반 사업과 제도 개선이 제안되었다 주민 대상 교육 및 계몽 활동도 병행돼야 한다
충남의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해 지역 맞춤형 배출량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요구되며 현장 중심의 점검과 기술 지원 강화가 강조되었다
비산먼지는 도로재비산290과 비포장도로285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축산활동153과 농업활동121이 뒤를 이었다 대부분 입자가 10 이상인 조대입자로 나타나 TSP 중심의 관리가 필요하다
생물성 연소에서는 농업잔재물 소각이 753로 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목난로 및 보일러 사용이 151 노천소각이 50였다 CO일산화탄소의 기여도가 65로 가장 높았다
비산먼지 배출 저감을 위해 도로재비산 억제 및 비포장도로 포장이 우선과제로 제시됐다 건설공사 현장 점검 축산시설 밀폐화 먼지 저감 설비 도입 등도 필요하다
생물성 연소는 농업잔재물의 마을 공동 퇴비화 바이오매스 연료화 화목보일러 기준 마련과 같은 마을 기반 사업과 제도 개선이 제안되었다 주민 대상 교육 및 계몽 활동도 병행돼야 한다
충남의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해 지역 맞춤형 배출량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요구되며 현장 중심의 점검과 기술 지원 강화가 강조되었다
목차
I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분류체계
II 비산먼지와 생물성 연소의 배출원 분류
III 비산먼지와 생물성 연소의 기여도 확인
IV 충청남도의 비산먼지와 생물성 연소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V 정책제언
II 비산먼지와 생물성 연소의 배출원 분류
III 비산먼지와 생물성 연소의 기여도 확인
IV 충청남도의 비산먼지와 생물성 연소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V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종범
해양생태환경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해양환경분야 관계자 워크숍(CNI세미나2017-046) (윤종주, 김태곤, 서우락, 김종범, 김성길) 2017. 03. 16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환경 정책연구를 위한 데이터 활용 사례(CNI세미나 2022-011) 2022. 03. 15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 대응관련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21-33) 2021. 11.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