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2010년 작성된 도시생태현황지도는 계룡시 개발 이후 현실과 불일치되는 부분이 많아 토지이용 및 야생동물 현황에 대한 정밀조사를 통해 비오톱 등급을 수정하고 도시계획 반영의 실효성을 제고하고자 했다
향한리 산림일대는 기존 Ⅰ등급 산림으로 지정돼 활용에 제약이 많았으나 소규모 경작지 나지 등이 혼재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ⅡⅣ등급 지역이 새롭게 구분되었다 이에 따라 지도 수정이 이루어졌다
야생동물 조사에서는 포유류 5종 조류 28종 양서파충류 7종 육상곤충 41종 담수어류 4종이 확인되었고 천연기념물 원앙과 외래종 배스중국자라 등이 출현하였다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향한천 및 향적산 일대는 생물다양성이 높고 산림계곡농경지가 복합된 서식환경이지만 도시화 진행과 외래종 유입 도로택지개발로 인한 생태단절이 우려되는 지역으로 판단되었다
생물서식지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라 도시생태현황지도에 벌채지 농경지 등은 ⅡⅣ등급으로 재평가되었으며 야생동물 조사결과는 비오톱 등급 조정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본 조사를 통해 향한리 일대의 자연환경 관리 및 산림복지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었으며 생태계 보전과 도시계획 간 균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가치가 강조되었다
향한리 산림일대는 기존 Ⅰ등급 산림으로 지정돼 활용에 제약이 많았으나 소규모 경작지 나지 등이 혼재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ⅡⅣ등급 지역이 새롭게 구분되었다 이에 따라 지도 수정이 이루어졌다
야생동물 조사에서는 포유류 5종 조류 28종 양서파충류 7종 육상곤충 41종 담수어류 4종이 확인되었고 천연기념물 원앙과 외래종 배스중국자라 등이 출현하였다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향한천 및 향적산 일대는 생물다양성이 높고 산림계곡농경지가 복합된 서식환경이지만 도시화 진행과 외래종 유입 도로택지개발로 인한 생태단절이 우려되는 지역으로 판단되었다
생물서식지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라 도시생태현황지도에 벌채지 농경지 등은 ⅡⅣ등급으로 재평가되었으며 야생동물 조사결과는 비오톱 등급 조정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본 조사를 통해 향한리 일대의 자연환경 관리 및 산림복지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었으며 생태계 보전과 도시계획 간 균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가치가 강조되었다
목차
1 2010년 계룡시 도시생태비오톱 유형분류도
2 향한리 일대 토지이용현황 변화
3 향한리 일대 야생동물분포 변화
4 2018년 계룡시 도시생태현황지도
2 향한리 일대 토지이용현황 변화
3 향한리 일대 야생동물분포 변화
4 2018년 계룡시 도시생태현황지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
-
정옥식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2017. 07. 12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