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부여-세종, 부여-익산 시외버스 직통노선 개설 관련 논리개발(2018일반-3)
현안

부여-세종, 부여-익산 시외버스 직통노선 개설 관련 논리개발(2018일반-3)

기간
2018. 01. 11 ~ 2018. 03. 20
연구책임자
김원철
키워드
부여군,세종시,익산시,시외버스,대중교통,직통노선,경제성,통행수요
다운로드

18_0320_(2018일반-3)_부여세종,부여익산시외버스직통노선개설관련논리개발(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관광객 증가와 유네스코 등재로 부여세종 부여익산 간 교류 수요가 높아졌으나 직통노선은 없어 대중교통 이용 시 환승과 긴 소요시간으로 군민 불편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직통노선 개설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시외버스 제도는 면허제이며 운행형태는 고속형 직행형 일반형으로 나뉜다 부여터미널 시외버스 노선은 수도권 중심이고 세종시는 공주 경유 노선만 있으며 익산시는 농어촌버스 환승 외엔 연계가 전무하다
통행수요 전망에 따르면 부여세종 간 통행은 연평균 688 버스 수요는 8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부여익산 간 통행은 연평균 046 감소가 전망되며 전반적으로 수요 기반이 약하다
세종과는 직통노선이 없지만 공주 경유 노선이 18회일 운행 중이며 편도 평균 이용객은 062명 수준이다 익산은 군산논산 경유 노선만 있고 소요시간이 2시간에 달해 교통약자의 불편이 심각하다
직통노선 개설은 명령노선으로 가능하며 손실은 지자체가 보상한다 충남도는 운송원가와 수입 간 차액으로 손실보상을 산정하는 기준을 운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세종 노선은 기존 경유노선과 시간 차가 적고 수요도 낮아 신설 재고가 필요하며 익산 노선은 경제성은 낮지만 복지적 필요에 따라 검토 가능하다 부여군은 수요조사 주민의견 수렴 업체 협의를 통해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목차

1 연구 목적 및 범위
2 시외버스 운송사업 제도
3 부여군세종시 부여군익산시 대중교통체계 현황 및 문제점
4 부여군세종시 부여군익산시 방문객 추이 및 통행수요 전망
5 시외버스 직통노선 개설 관련 쟁점사항
6 직통노선 개설을 위한 부여군 대응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