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남 가금농가 및 방역공무원 AI 방역인식 실태조사 및 분석
현안

충남 가금농가 및 방역공무원 AI 방역인식 실태조사 및 분석

기간
2018. 02. 01 ~ 2018. 04. 30
연구책임자
강마야
연구자
정옥식,김기흥,이도경
키워드
가금농가,지자체 방역담당자(방역공무원),AI,방역인식
다운로드

180430_충남 가금농가 및 방역공무원 AI방역인식 실태조사 및 분석_강마야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가금 농가의 AI 방역인식 실태 기초 설문조사 분석 결과
첫째 행동지침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인지 잘 수행한다고 여김
둘째 구체적 항목에 대해서는 많은 항목을 수행하지 않음
셋째 상당수 농가가 바이러스 유입가능성에 노출 발병관련 각종 정보공유 미흡으로 질병발생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음
넷째 여건이 갖춰지지 않은 농가에 대한 지원 컨설팅 필요함
다섯째 교육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다각적 방안 마련 필요함
충남 방역 공무원의 AI 방역인식 실태 기초 설문조사 분석 결과
첫째 공무원 스스로 매뉴얼 숙지정도 및 신뢰도는 낮은 편임
둘째 농가도 방역매뉴얼 숙지정도 실천정도는 낮다고 평가함
셋째 발생 전 농가의 질병 대비 수준은 높지 않다고 평가함
넷째 발생 후 정부지자체보다 농가 자체에 원인이 크다고 봄
다섯째 애로사항은 농민의식부족 업무과다 낮은 현장 이해도
충남 고병원성 AI 발생농가의 심층 설문조사 분석 결과
첫째 방역조치의 중요사항소독 출입통제 개인위생 등은 대체로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남
둘째 AI발생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책임을 농가에게만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고 느끼고 있음
셋째 AI 발생 책임 주체는 국가 농가 지자체 순으로 응답함
넷째 AI 재발방지를 위해서 건강한 사육 환경 차단 방역 및 소독 철저 AI 백신정책 도입 시설 개선 및 보완 등을 꼽음

목차

1 서론
2 충남 가금 농가의 AI 방역인식 실태 기초 설문조사 분석
3 충남 방역 공무원의 AI 방역인식 실태 기초 설문조사 분석
4 충남 고병원성 AI 발생농가의 심층 설문조사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부록1 충남 가금 농가의 AI 방역인식 실태 설문조사지
부록2 충남 방역 공무원의 AI 방역인식 실태 설문조사지
부록3 충남 고병원성 AI 발생농가의 심층 설문조사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