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삼선산수목원은 생물다양성 증진과 자연복지 공간으로서의 활용을 위해 조성되었으며 1307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 전체 면적의 722가 생태 1등급 지역으로 생물 서식지 가치가 높다
현장 및 문헌조사 결과 조류 14종 포유류 2종 양서파충류 나비류 등이 서식 중이며 수공간 부족 먹이자원 및 은신처 부족 송전선로로 인한 조류 충돌이 주요 서식지 위해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물 공급을 위한 수공간 확충 화밀씨앗열매를 제공할 수 있는 식물 식재 인공둥지 및 고목 제공 등 서식지 구성요소를 다양화해 생물종 유입을 유도해야 한다
송전선과 송전탑은 조류 충돌의 주요 원인이며 장기적으로 이전 검토가 필요하다 온실 및 방문자센터 유리창에도 충돌방지 장치 설치가 요구된다
탐방객 만족도를 위해 평지 공간 확장 쉼터 및 의자 설치 안내판과 체험 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 축산악취 완화를 위한 완충림 조성도 필요하다
수목원 운영의 비전 설정과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위해 전문가 관계자 시민이 참여하는 협의체 운영이 바람직하며 효율적 운영과 만족도 제고가 목표다
현장 및 문헌조사 결과 조류 14종 포유류 2종 양서파충류 나비류 등이 서식 중이며 수공간 부족 먹이자원 및 은신처 부족 송전선로로 인한 조류 충돌이 주요 서식지 위해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물 공급을 위한 수공간 확충 화밀씨앗열매를 제공할 수 있는 식물 식재 인공둥지 및 고목 제공 등 서식지 구성요소를 다양화해 생물종 유입을 유도해야 한다
송전선과 송전탑은 조류 충돌의 주요 원인이며 장기적으로 이전 검토가 필요하다 온실 및 방문자센터 유리창에도 충돌방지 장치 설치가 요구된다
탐방객 만족도를 위해 평지 공간 확장 쉼터 및 의자 설치 안내판과 체험 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 축산악취 완화를 위한 완충림 조성도 필요하다
수목원 운영의 비전 설정과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위해 전문가 관계자 시민이 참여하는 협의체 운영이 바람직하며 효율적 운영과 만족도 제고가 목표다
목차
제1장 연구개요
제2장 삼선산수목원 현황조사 및 결과
제3장 삼선산수목원 생물다양성 증진 방안
제4장 결론 및 제언
제2장 삼선산수목원 현황조사 및 결과
제3장 삼선산수목원 생물다양성 증진 방안
제4장 결론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옥식,사공정희,장하라,정지은
2023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3-084) 2023.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