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금산군은 재활용 선별시설 입지를 환경기초시설 부지와 기존 매립시설 부지 두 곳을 비교한 결과 운반거리와 효율성을 고려해 환경기초시설 부지가 더 적합하다고 분석되었다
금산군의 하루 재활용 가능자원 배출량은 약 81톤이며 주요 품목은 고철 영농폐자재 플라스틱 캔류 폐지 등이다 연간 회수물량과 작업일수를 기준으로 분석된 적정 선별인원은 743명이다
선별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소각매립시설과의 연계 운영이 제시되었고 기존 적환장은 폐쇄한 뒤 환경기초시설 내에 선별 압축 포장 기능이 통합된 일관 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이 권장되었다
민간위탁 운영은 금산군의 재정상황을 고려해 비용효과성과 경제적 타당성을 전제로 추진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운영관리 비용 산정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중국의 재활용품 수입 제한에 따른 비닐플라스틱 판매수입 감소로 인해 일부 품목의 일반폐기물화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종량제봉투 사용 인식 제고가 병행되어야 한다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체계를 위해 시설 입지와 운영 인력 민간위탁 방식 정책적 대응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향후 자원순환종합계획과 연계된 실천 전략이 필요하다
금산군의 하루 재활용 가능자원 배출량은 약 81톤이며 주요 품목은 고철 영농폐자재 플라스틱 캔류 폐지 등이다 연간 회수물량과 작업일수를 기준으로 분석된 적정 선별인원은 743명이다
선별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소각매립시설과의 연계 운영이 제시되었고 기존 적환장은 폐쇄한 뒤 환경기초시설 내에 선별 압축 포장 기능이 통합된 일관 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이 권장되었다
민간위탁 운영은 금산군의 재정상황을 고려해 비용효과성과 경제적 타당성을 전제로 추진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운영관리 비용 산정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중국의 재활용품 수입 제한에 따른 비닐플라스틱 판매수입 감소로 인해 일부 품목의 일반폐기물화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종량제봉투 사용 인식 제고가 병행되어야 한다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체계를 위해 시설 입지와 운영 인력 민간위탁 방식 정책적 대응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향후 자원순환종합계획과 연계된 실천 전략이 필요하다
목차
1 서론
2 금산군 재활용 현황과 전망
3 재활용 선별시설 입지선정방안
4 재활용 선별시설 관리방안
5 결론 및 정책 제언
2 금산군 재활용 현황과 전망
3 재활용 선별시설 입지선정방안
4 재활용 선별시설 관리방안
5 결론 및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종관
해양환경안전포럼(CNI세미나2017-109)(황운기,이규성,임운혁,이봉길,김도선,정종관) 2017. 09. 15
제5차 충남환경포럼 '전략환경평가의 방향과 과제' (정종관) 2006. 10. 1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논산시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방안 (정종관,이상진,오혜정) 2007. 04. 24
금강하굿둑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2014. 02. 05
금강수계 하천,하구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정종관) 2008. 0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