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충남 6개 시군에 입지한 14개 기업의 이전 및 공장신설 투자는 총 1664억 원 규모이며 신규 고용은 780명이다 주생산품은 자동차부품 화장품 통신기기 등으로 구성된다
경제적 효과는 건설효과와 생산효과로 구분되며 건설효과는 단발적이고 전국에 파급되는 반면 생산효과는 기업이 가동하는 한 지역 내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생산효과는 총 1745억 원의 생산액 422억 원의 부가가치가 발생했으며 기업들이 입지한 시군별로 지속적인 고용과 부가가치 창출이 이어진다 천안과 보령 예산 등이 주요 효과 지역이다
건설효과는 투자 기간 동안 발생한 생산유발액 4753억 원 부가가치 1663억 원 고용유발 2906명 규모로 나타났으며 전체의 절반가량은 충남 도내에서 발생했다
건설효과는 주로 천안 보령 서천 예산 등에서 집중되며 부가가치 및 고용 효과도 유사한 지역 분포를 보인다 서천군은 고용유발에서 특히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충남도의 입장에서는 단발성 건설효과보다는 지속 가능한 생산효과에 중점을 둔 투자 유치 전략이 요구되며 기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가동할 수 있도록 기반 조성이 필수적이다
경제적 효과는 건설효과와 생산효과로 구분되며 건설효과는 단발적이고 전국에 파급되는 반면 생산효과는 기업이 가동하는 한 지역 내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생산효과는 총 1745억 원의 생산액 422억 원의 부가가치가 발생했으며 기업들이 입지한 시군별로 지속적인 고용과 부가가치 창출이 이어진다 천안과 보령 예산 등이 주요 효과 지역이다
건설효과는 투자 기간 동안 발생한 생산유발액 4753억 원 부가가치 1663억 원 고용유발 2906명 규모로 나타났으며 전체의 절반가량은 충남 도내에서 발생했다
건설효과는 주로 천안 보령 서천 예산 등에서 집중되며 부가가치 및 고용 효과도 유사한 지역 분포를 보인다 서천군은 고용유발에서 특히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충남도의 입장에서는 단발성 건설효과보다는 지속 가능한 생산효과에 중점을 둔 투자 유치 전략이 요구되며 기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가동할 수 있도록 기반 조성이 필수적이다
목차
1 충남 이전 및 공장신설 기업들의 투자개요
2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구분
3 분석결과 1 생산효과 2 건설효과
2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구분
3 분석결과 1 생산효과 2 건설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종윤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지역경제 이슈발굴을 위한 미래전략연구 세미나(이종윤,홍원표) 2015. 02. 16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
중부대학교 이전의 효과분석 (임재영,이종윤) 2013. 09. 04
2016년 제2차 공공투자연구포럼(생태환경, 지역발전의 새로운 모티프로) 2016. 05. 09
-
임재영
정책이슈 발굴을 위한 공공투자연구포럼(김종민,이현주,김태균,임재영) 2016. 03. 31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움(CNI세미나2017-169)(전대욱,임재영) 2017. 12. 18
대중 기초통계 정비를 위한 실무진 회의(임재영) 2015. 06. 11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