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예산 신례원 중심가로는 조선시대 교통물류 중심지였던 지역으로 산업 쇠퇴와 함께 가로의 활력이 저하되며 정체성과 이용 기능이 약화되었다 이에 역사문화 자산을 바탕으로 경관 특화가로 조성이 제안되었다
중심가로는 신례원역에서 창소사거리까지 약 108km 구간으로 현재는 도로 및 보도정비가 이루어졌으나 전선 미정비 주차 문제 등으로 보행환경이 열악하다 지역 특성 반영이 부족하여 활용도도 낮다
특화 방안은 시간여행의 길이라는 테마 아래 창말로 시간여행거리 신례원 갤러리 그린카페 거리 문화공간 조성으로 구성된다 추사 김정희 관련 이야기를 활용한 역사문화적 콘텐츠 도입이 핵심이다
국내외 특화거리 사례로는 서귀포 이중섭거리 대구 근대골목 프랑스 리옹의 가리발디 거리 등이 검토되었고 이들은 테마 콘텐츠 주민참여 가로시설 개선 등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한 점에서 시사점을 준다
창말로 시간여행거리는 바닥 타임라인 역사 안내판 테마 벤치 등으로 구성되며 신례원 갤러리는 구충남방적 담장을 활용해 지역 이야기를 담은 가로 갤러리로 조성된다 이벤트 공간 조성도 병행된다
중장기적으로는 공장 건물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해 창말로 전체를 문화재생 공간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하며 지역 주민 참여와 상징 조형물 설치 등으로 경관특화의 지속성과 실효성을 높인다
중심가로는 신례원역에서 창소사거리까지 약 108km 구간으로 현재는 도로 및 보도정비가 이루어졌으나 전선 미정비 주차 문제 등으로 보행환경이 열악하다 지역 특성 반영이 부족하여 활용도도 낮다
특화 방안은 시간여행의 길이라는 테마 아래 창말로 시간여행거리 신례원 갤러리 그린카페 거리 문화공간 조성으로 구성된다 추사 김정희 관련 이야기를 활용한 역사문화적 콘텐츠 도입이 핵심이다
국내외 특화거리 사례로는 서귀포 이중섭거리 대구 근대골목 프랑스 리옹의 가리발디 거리 등이 검토되었고 이들은 테마 콘텐츠 주민참여 가로시설 개선 등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한 점에서 시사점을 준다
창말로 시간여행거리는 바닥 타임라인 역사 안내판 테마 벤치 등으로 구성되며 신례원 갤러리는 구충남방적 담장을 활용해 지역 이야기를 담은 가로 갤러리로 조성된다 이벤트 공간 조성도 병행된다
중장기적으로는 공장 건물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해 창말로 전체를 문화재생 공간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하며 지역 주민 참여와 상징 조형물 설치 등으로 경관특화의 지속성과 실효성을 높인다
목차
1 과제 개요
2 신례원 및 중심가로 현황
3 특화거리 조성 사례와 시사점
4 중심가로 경관특화방안
2 신례원 및 중심가로 현황
3 특화거리 조성 사례와 시사점
4 중심가로 경관특화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소진
충남 농업농촌 활성화를 위한 관계인구 창출 및 확대 전략 2023. 02. 07
충남 농촌지역 관광활성화 방안 2021. 03. 30
2022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2-101) 2022. 12. 20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 결과보고_백제문화(권) 관광거점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2023. 10. 21
향적산권 종합개발계획 2018. 01. 03
(CNI세미나 2024-104) 충남연구원 2024 연구성과발표회 2024. 12. 19
-
박철희
도민 문화향유 기회 확대방안 세미나 (이형호, 조한영, 이선철, 박철희) 2016. 12. 26
2014 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박철희,김승근) 2014. 11. 28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충청남도 이미지 실태조사 연구 2009. 01. 01
충남리포트-(제280호) 충남 문화예술인 클러스터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17. 11. 15
-
신선하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태안관문가꾸기 기본구상 2015. 05. 14
제3차 충남 보육발전 5개년 계획서 표지 디자인 2015. 12. 01
부여군 국민 디자인 과제 활성화 용역 2018. 05. 14
금산군 인삼약초건강관의 전략적 활용 방안 2024. 0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