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한국의 농업직불금은 소득보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도 간 연계 부족 단기성과 중심 양극화 심화 등으로 효과가 낮고 복잡한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공익형 직불제로의 전환을 공약했으나 2018년 예산안에서도 예산 확대와 제도 설계 보완이 미흡하며 구조 개편 없이 제도만 추가된 상황이다
예산 재편 방향은 개인 책임 강화 시장 자율성 확보 공공재 보호 지방정부 역할 확대 등 원칙에 따라 기존 보조사업을 감축하고 조직화공공재 중심 사업은 유지 또는 확대해야 한다
직불제는 기본형 식량자급 지불제와 가산형 다기능농업 직불제로 구성하며 농가 단위 소득안정과 환경사회 기여에 대한 보상 체계를 강화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정책 실현을 위해 예산 재구성 법제도 정비 농업재정 DB 구축 교육과정 제도화 대통령 직속 위원회 운영 등이 제안되며 농정 철학과 지방자치 중심 농정개혁이 병행되어야 한다
목차
1장 직불제 중심의 농정을 위한 예산구조 재편
2 현황 및 문제점
3 농정분야 예산구조 재편
4 직불제 중심의 농정 전환
5 정책 제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김홍철
수도권 관리정책의 평가와 대응과제 토론회 (김용웅,정준호,변창흠/토론:강현수,김수상,변용환,이상대,최종훈,김기홍,김홍철,송우경,양금승) 2011. 12. 06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6년 하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2017년 시민단체와의 간담회(CNI세미나2017-057) 2017. 03. 27
2017 문재인정부 국정과제 방향과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충남 간담회(CNI세미나2017-107) (강현수, 정선애) 2017. 08. 29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태안군 정책협력과제 [정책공감] 태안군 군민정책토론회 2017. 10. 23
충남연구원 개원22주년 기념세미나_데이터에 눈뜨다, 스마트 충청남도(CNI세미나-044)(김승범, 하도훈, 최돈정) 2017. 0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