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현안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결과 종합분석

기간
2018. 05. 01 ~ 2018. 09. 28
연구책임자
박근오
키워드
우리집,생활안전온도,충청남도,안전점검,만족도,설문조사,학생,보호자
다운로드

[현안과제] 우리집 안전온도 점검하기 설문분석 결과(4~6월)_Final(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연구는 2018년 상반기 충청남도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사업의 점검표 분석46월과 학생보호자 대상 만족도 조사를 통해 가정 내 안전문화 정착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월별 점검 결과 전체 평균 안전온도는 4월 791도에서 6월 834도로 상승했으며 지역별로 당진시가 853도로 가장 높았고 금산군 등 일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년별로는 저학년일수록 점검 결과가 양호했고 고학년일수록 낮았다
학생 만족도 조사에서 523가 사전 안전점검 경험이 있었으며 802는 부모와 함께 점검했다 692가 점검이 안전문화 생활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고 653는 안전수칙을 더 잘 지키게 되었다고 답했으며 940가 점검을 지속할 것을 찬성했다
보호자 조사에서는 575가 점검 경험이 있고 591가 자녀의 점검 활동에 흥미를 느끼며 830가 학업과 별개로 안전점검이 유익하다고 평가했다 829는 점검이 가정의 안전문화 정착에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했고 759는 자녀가 안전수칙을 더 잘 지킨다고 보았으며 923가 지속 실시에 찬성했다
분석 결과 점검 활동이 가정 내 안전의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학년지역별 편차가 크고 일부 항목은 개선이 필요하다
정책 제언으로는 조사 대상 학교학년별 균형 샘플 확보 점검표 문항에 가전기기 사용법지진 대피요령 등 실질적 항목 보강 결과 공유 및 논의 기회 제공을 통해 일회성 행사가 아닌 상시적 안전문화 활동으로 전환할 것을 권고한다

목차

1 분석의 개요
2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 분석 결과
3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만족도 조사 분석
4 결론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