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내포신도시는 자족기능 확보를 위해 산업단지 조성과 집단에너지시설의 연료전환이 추진 중이며 이에 따라 안정적인 공업용수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목표인구 10만 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2700천 규모의 산업단지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공업용수 수요는 약 36000일로 추산된다 현재는 보령댐계통 광역상수도를 통해 생활 및 일부 공업용수가 공급되고 있으나 수요 증가에 대비한 추가 수원 확보가 절실하다
공업용수 확보 방안으로는 예산당진 공업용수도 충남서부권 광역상수도 예당호 및 대호호 원수 활용 등 네 가지가 검토되었다 예산당진 공업용수도는 거리상 유리하나 여유량이 없어 현실적 한계가 있으며 충남서부권 광역상수도는 대청댐을 수원으로 공급계획이 있으나 산업단지 지정 등 절차상의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예당호 원수는 지리적으로 가까워 유리하며 기존 도수로가 있어 용수 부족 문제도 해결 가능하나 농림축산식품부 및 한국농어촌공사와의 협의가 필요하다 대호호 원수는 기존 취수시설 활용이 가능하나 송수 거리 길이로 인해 경제성이 낮고 관련 기관과의 협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각 방안은 장단점이 뚜렷해 현실적 조건을 고려한 신중한 선택이 요구된다
정책 제언으로는 농업용저수지의 원수를 생활 및 공업용수로도 활용하기 위한 협의 및 정책 개발이 필요하며 통합물관리 차원에서 다양한 수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와 사업 추진이 강조된다 물순환체계 개선 빗물이용 물 재이용 등을 포함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확보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
내포신도시 주변의 다양한 수원하천 댐 지하수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수원 다변화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 마련도 필요하다 충남도 차원에서는 국가적 사업에 발맞춰 선도적인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물 이용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공업용수 확보 방안으로는 예산당진 공업용수도 충남서부권 광역상수도 예당호 및 대호호 원수 활용 등 네 가지가 검토되었다 예산당진 공업용수도는 거리상 유리하나 여유량이 없어 현실적 한계가 있으며 충남서부권 광역상수도는 대청댐을 수원으로 공급계획이 있으나 산업단지 지정 등 절차상의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예당호 원수는 지리적으로 가까워 유리하며 기존 도수로가 있어 용수 부족 문제도 해결 가능하나 농림축산식품부 및 한국농어촌공사와의 협의가 필요하다 대호호 원수는 기존 취수시설 활용이 가능하나 송수 거리 길이로 인해 경제성이 낮고 관련 기관과의 협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각 방안은 장단점이 뚜렷해 현실적 조건을 고려한 신중한 선택이 요구된다
정책 제언으로는 농업용저수지의 원수를 생활 및 공업용수로도 활용하기 위한 협의 및 정책 개발이 필요하며 통합물관리 차원에서 다양한 수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와 사업 추진이 강조된다 물순환체계 개선 빗물이용 물 재이용 등을 포함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확보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
내포신도시 주변의 다양한 수원하천 댐 지하수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수원 다변화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 마련도 필요하다 충남도 차원에서는 국가적 사업에 발맞춰 선도적인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물 이용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목차
1 배경 및 필요성
2 내포신도시 용수이용현황 및 계획
3 내포신도시 공업용수 확보방안
4 결론 및 정책제언
2 내포신도시 용수이용현황 및 계획
3 내포신도시 공업용수 확보방안
4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영준
충남도청 이전과 태안군 발전방안 워크숍 (오용준,박철희,김영준) 2012. 10. 11
열린충남70호 2015. 04. 01
마리나 등 해양레저시설 조성과 충남 해양관광 발전전략 전문가 워크숍(김영준,이종훈,김경태) 2015. 02. 05
2014 지역문화관광 포럼 지역관광 활성화 방향(김영준,이인배) 2014. 12. 19
해양정책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 (안병량,김형근,김영준,정종관) 2011. 08. 24
충청남도 대기질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세미나 (CNI세미나 2024-54) 2024. 09. 11
-
김영일
시군 자체수원 확보 실행계획 수립을 위한 토론회(CNI세미나2017-039) (김영일) 2017. 02. 07
2016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고승희,김영일,김용운) 2016. 04. 11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충청남도 수자원 관리 토론회(변희룡,신동헌,김영호,강형식,김영일) 2015. 11. 25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홍보를 위한 특집다큐 제작 관계자 토론회(CNI세미나2017-116) (김영일) 2017. 08. 28
가뭄에 대비한 금강유역통합관리와 상수원 다원화 방안(김영일, 허재영) 2015.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