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역사인물 거리 조성 방안 연구
현안

역사인물 거리 조성 방안 연구

기간
2018. 08. 20 ~ 2018. 09. 10
연구책임자
권영현
연구자
신선하
키워드
역사,인물,보훈공원,독립운동,거리,조성,상징물,공원
다운로드

현안과제 2018 역사인물거리 조성.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보훈공원의 장소성을 강화하고 지역 항일 독립운동의 가치를 부각시키기 위해 역사인물거리 조성 방안을 제시한 이 연구는 보훈공원을 상징적 공간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보훈공원은 다양한 기념 시설과 연결통로가 존재하나 방문객의 체류 유도와 장소성 확보에는 한계가 있어 시각적 유인 요소와 스토리텔링 강화가 요구된다
역사 인물을 활용한 국내외 조형물 사례를 분석한 결과 과거에는 높은 기단에 위엄 있는 형태가 주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눈높이를 맞춘 친근한 조형물이나 스트리트 퍼니처와 결합된 방식이 선호된다 대표적인 사례로 김광석길 한국전 참전기념비 김구상 등이 있으며 스토리와 공간 맥락이 조형물의 메시지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충남 보훈공원에 적합한 역사 인물로는 건국훈장을 수여받은 김좌진 윤봉길 한용운 등 충남 출신 항일운동가가 검토되며 이들을 중심으로 인물 거리 구성을 계획한다 인물상은 중요도에 따라 반신상 부조 석재 패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배경이나 관람 시점에 따라 적절한 표현 방식이 결정된다
역사인물거리의 대상 경로는 1차로 6개 구간이 검토되었고 2차로는 보훈공원 주차장 진입로와 홍예공원 중심부에서 보훈공원 정면 입구로 이어지는 경로 두 곳이 최종 선정되었다 각각 외부 방문객과 지역 주민을 주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공간 구조와 설치 여건에 따라 차별화된 계획이 마련되었다
조성 방안은 역사적 시간 흐름에 따라 인물을 배열하고 관람객의 주의를 끌 수 있도록 경로와 조형물의 배치를 고려한 복합 설계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 단순한 조형물 설치를 넘어 지역 주민과 방문객이 역사와 인물을 체험하며 공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의 전환이 목표이다
향후 과제로는 인물 선정에 대한 공식 절차와 검증 조형물 설치에 따른 예산 산출 등이 포함되며 세부적인 계획 수립과 함께 전문가 자문을 통한 구체화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충남 보훈공원은 지역 정체성과 역사적 의미를 담은 상징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과제의 개요
2 역사인물의 장소화
3 대상장소 현황
4 대상거리 제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