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충청남도는 도시의 인구감소와 고령화 산업 변화 등에 대응하고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행복한 도시만들기 공모사업을 추진해왔다 본 연구는 20172018년 추진된 스마트 공원 쌈지주차장 도로교통표지 개선사업의 성과를 주민 만족도 조사와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평가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조사 결과 세 사업 모두 높은 주민 만족도를 보였으며 생활환경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공원은 이용자의 96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건강 증진과 사회약자의 접근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공원 확대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향후에는 도시농업공원 미세먼지 대응 공원 등 다기능 공간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제기되었다 쌈지주차장 사업은 주차 공간 부족 문제 해소에 크게 기여하며 926의 높은 만족도를 기록하였다 스마트 주차장 도입을 통한 효율성 제고와 장기적 확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포함되었다
도로교통표지 개선사업은 응답자의 90가 만족했으며 고령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 강화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 향후에는 스마트 가로시설 도입 완전도로 개념 적용 등으로 교통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세 사업 모두 기반시설에 편중되어 지원사업 내용의 다양성이 부족하고 주민 참여가 미흡하다는 공통적인 지적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이 요구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2017년 573억 원의 투자로 충남에서 약 751억 원의 생산유발 248억 원의 부가가치 73명의 고용창출이 나타났고 2018년에는 591억 원 투자로 755억 원의 생산유발 257억 원의 부가가치 75명의 고용이 발생하였다 특히 쌈지주차장의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실질적인 주민 수요를 반영한 사업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2019년 이후 공모사업은 축소도시 스마트도시 포용도시 회복탄력성 높은 도시 등 도시정책 패러다임을 반영한 방향으로 확대가 필요하다 더불어 주민 의견 반영 강화 다양한 형태의 공공공간 조성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도시 인프라 설계가 강조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행복한 도시만들기 공모사업은 지역 생활환경 개선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바 크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정책 개선과 주민 중심의 맞춤형 사업 확대를 통해 도민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스마트 공원은 이용자의 96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건강 증진과 사회약자의 접근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공원 확대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향후에는 도시농업공원 미세먼지 대응 공원 등 다기능 공간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제기되었다 쌈지주차장 사업은 주차 공간 부족 문제 해소에 크게 기여하며 926의 높은 만족도를 기록하였다 스마트 주차장 도입을 통한 효율성 제고와 장기적 확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포함되었다
도로교통표지 개선사업은 응답자의 90가 만족했으며 고령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 강화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 향후에는 스마트 가로시설 도입 완전도로 개념 적용 등으로 교통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세 사업 모두 기반시설에 편중되어 지원사업 내용의 다양성이 부족하고 주민 참여가 미흡하다는 공통적인 지적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이 요구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2017년 573억 원의 투자로 충남에서 약 751억 원의 생산유발 248억 원의 부가가치 73명의 고용창출이 나타났고 2018년에는 591억 원 투자로 755억 원의 생산유발 257억 원의 부가가치 75명의 고용이 발생하였다 특히 쌈지주차장의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실질적인 주민 수요를 반영한 사업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2019년 이후 공모사업은 축소도시 스마트도시 포용도시 회복탄력성 높은 도시 등 도시정책 패러다임을 반영한 방향으로 확대가 필요하다 더불어 주민 의견 반영 강화 다양한 형태의 공공공간 조성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도시 인프라 설계가 강조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행복한 도시만들기 공모사업은 지역 생활환경 개선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바 크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정책 개선과 주민 중심의 맞춤형 사업 확대를 통해 도민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목차
1 인구감소 및 고령화시대 도시계획 패러다임 변화 검토
2 도시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원도심 활성화 등에 대한 주민 요구 분석
3 공모사업 성과평가 및 향후 과제
4 행복한 도시만들기 지원사업 지역 경제 파급효과
2 도시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원도심 활성화 등에 대한 주민 요구 분석
3 공모사업 성과평가 및 향후 과제
4 행복한 도시만들기 지원사업 지역 경제 파급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용준,임형빈,정지은
충남의 문화정책 진흥을 위한 세미나(문화예술교육) (CNI세미나2018-029) 2018. 05. 02
충남연구원과 함께하는 예산군 미래 발전전략 정책워크숍(CNI세미나2019-025) 2019. 04. 02
천수만권역 종합발전전략 수립 연구용역 2017. 08. 24
한일공동심포지움-이동권확보를위한지속가능한교통(CNI세미나18-084) 2018. 09. 11
지역 영상문화 진흥 방안 연구 2017. 0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