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해미전통시장은 인구감소와 소비행태 변화로 인해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단순한 시설 현대화만으로는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전통시장의 기능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서 지역 관광자원과 연계한 활성화 전략이 제안되었다 해미읍성과 인접한 지리적 특성과 높은 유동인구를 활용해 전통시장을 생활형 시장에서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며 관광객 유치를 통해 시장의 경쟁력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는 해미전통시장과 인근 상점가의 현황을 분석하고 주요 문제점으로 업종 다양성 부족 공간 특성화 미흡 상인 고령화 점포 매력도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대응방안으로는 시장 기능의 전환 상품력 강화 거점공간으로의 활용 통합 상권 이미지 구축 상권관리조직 도입이 제안되었다 해미읍성 축제 및 종교관광지와의 연계성을 강조하며 전통시장이 해미읍 관광의 주요 거점이 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활성화 방안은 크게 업종 변경 시설개선 경영 및 소프트웨어 사업 시장특성화 제도개선으로 나뉘며 청년몰 조성 옥상 루프탑 카페 야외 공연장 설치 등도 포함되었다 청년층과 가족단위 관광객을 주요 타겟으로 설정하고 지상 1층은 지역밀착형 점포 2층은 음식점 위주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 루프탑은 해미읍성과의 시너지를 기대하며 관광 명소화가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해미전통시장만의 활성화로는 한계가 있어 해미읍 전체를 하나의 상권으로 통합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 시장 외에도 골목 상권 해미초 폐교지 해미5일장 등을 기능별로 분리하여 운영하는 복합상권으로 육성할 방안이 제시되었다 각 공간은 체험 문화 숙박 전시 등 관광객 유입을 고려한 기능을 분담하게 된다
단계별 추진 전략으로는 거점 상업시설 중심의 1단계 폐교 활용 문화예술공간 조성의 2단계 보행 환경 개선과 골목길 콘텐츠 도입의 3단계 면적요소 정비를 통한 주차공간 및 편의시설 확보의 4단계가 계획되었다 각 단계는 실행 가능성과 예산 확보 민관 협력 구조를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해미전통시장 활성화는 단일 시장의 경쟁력 제고를 넘어 지역 관광자원과의 통합적 전략을 통해 상권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 자원의 적극적 활용 정책적 지원 지속적인 운영 및 관리 체계 구축이 병행되어야 한다
연구는 해미전통시장과 인근 상점가의 현황을 분석하고 주요 문제점으로 업종 다양성 부족 공간 특성화 미흡 상인 고령화 점포 매력도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대응방안으로는 시장 기능의 전환 상품력 강화 거점공간으로의 활용 통합 상권 이미지 구축 상권관리조직 도입이 제안되었다 해미읍성 축제 및 종교관광지와의 연계성을 강조하며 전통시장이 해미읍 관광의 주요 거점이 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활성화 방안은 크게 업종 변경 시설개선 경영 및 소프트웨어 사업 시장특성화 제도개선으로 나뉘며 청년몰 조성 옥상 루프탑 카페 야외 공연장 설치 등도 포함되었다 청년층과 가족단위 관광객을 주요 타겟으로 설정하고 지상 1층은 지역밀착형 점포 2층은 음식점 위주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 루프탑은 해미읍성과의 시너지를 기대하며 관광 명소화가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해미전통시장만의 활성화로는 한계가 있어 해미읍 전체를 하나의 상권으로 통합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 시장 외에도 골목 상권 해미초 폐교지 해미5일장 등을 기능별로 분리하여 운영하는 복합상권으로 육성할 방안이 제시되었다 각 공간은 체험 문화 숙박 전시 등 관광객 유입을 고려한 기능을 분담하게 된다
단계별 추진 전략으로는 거점 상업시설 중심의 1단계 폐교 활용 문화예술공간 조성의 2단계 보행 환경 개선과 골목길 콘텐츠 도입의 3단계 면적요소 정비를 통한 주차공간 및 편의시설 확보의 4단계가 계획되었다 각 단계는 실행 가능성과 예산 확보 민관 협력 구조를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해미전통시장 활성화는 단일 시장의 경쟁력 제고를 넘어 지역 관광자원과의 통합적 전략을 통해 상권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 자원의 적극적 활용 정책적 지원 지속적인 운영 및 관리 체계 구축이 병행되어야 한다
목차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내용
3 대상지 현황
2 연구방법 및 흐름도
1 연구의 방법
2 흐름도
II 이론적 고찰 및 정책 현황
1 선행연구 검토
1 전통시장의 문화여가 및 관광지 기능에 따른 활성화
2 전통시장 브랜드 장소성 등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 전통시장 관련 제도 및 지원 사업
1 전통시장 활성화 관련 제도
2 상권활성화 제도
3 지원 사업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지원 사업
III 사례분석
1 국내 전통시장 성공 사례
1 전통시장 융합 마케팅 사례분석
2 관광형 전통시장 성공사례
2 국외 전통시장 성공 사례 유후인
1 일본 유후인 개요
2 유후인 관광 코스
3 유후인 상품
4 시사점
3 외부공간 활용 사례
1 대전 중앙메가플라자 옥외공간 사례
2 신세계백화점 옥상공간
3 루프탑 활용 사례
IV 서산 해미전통시장 현황 및 환경분석
1 서산 해미전통시장해미공설시장 현황
1 해미전통시장 일반현황
2 해미전통시장 신축현황
3 해미전통시장 상권분석
2 해미읍 전통시장 및 상점가 현황
3 서산시 해미면 현황
1 지명과 해미면 위치
2 서산시와 해미읍 주요 먹거리 특산품 축제
3 주요관광자원 현황
4 해미전통시장 및 상점가 문제인식과 대응 방안
1 현황의 문제점과 잠재력
2 문제인식
3 대응 방안
V 활성화 방안
1 해미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1 단계별 전통시장 활성화 방향 수립
2 업종의 변경
3 시설개선Hardware 사업
4 경영사업Humanware Software
5 시장특성화사업
6 제도 개선
2 해미읍 상권활성화 방안
1 해미 상권 활성화 방향 설정
2 상권활성화 구역 설정안
3 상권활성화를 위한 주요사업 방향
4 단계별 추진 및 제도개선 사항
VI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및 요약
2 정책 제언
부록 자문회의
참고문헌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내용
3 대상지 현황
2 연구방법 및 흐름도
1 연구의 방법
2 흐름도
II 이론적 고찰 및 정책 현황
1 선행연구 검토
1 전통시장의 문화여가 및 관광지 기능에 따른 활성화
2 전통시장 브랜드 장소성 등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 전통시장 관련 제도 및 지원 사업
1 전통시장 활성화 관련 제도
2 상권활성화 제도
3 지원 사업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지원 사업
III 사례분석
1 국내 전통시장 성공 사례
1 전통시장 융합 마케팅 사례분석
2 관광형 전통시장 성공사례
2 국외 전통시장 성공 사례 유후인
1 일본 유후인 개요
2 유후인 관광 코스
3 유후인 상품
4 시사점
3 외부공간 활용 사례
1 대전 중앙메가플라자 옥외공간 사례
2 신세계백화점 옥상공간
3 루프탑 활용 사례
IV 서산 해미전통시장 현황 및 환경분석
1 서산 해미전통시장해미공설시장 현황
1 해미전통시장 일반현황
2 해미전통시장 신축현황
3 해미전통시장 상권분석
2 해미읍 전통시장 및 상점가 현황
3 서산시 해미면 현황
1 지명과 해미면 위치
2 서산시와 해미읍 주요 먹거리 특산품 축제
3 주요관광자원 현황
4 해미전통시장 및 상점가 문제인식과 대응 방안
1 현황의 문제점과 잠재력
2 문제인식
3 대응 방안
V 활성화 방안
1 해미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1 단계별 전통시장 활성화 방향 수립
2 업종의 변경
3 시설개선Hardware 사업
4 경영사업Humanware Software
5 시장특성화사업
6 제도 개선
2 해미읍 상권활성화 방안
1 해미 상권 활성화 방향 설정
2 상권활성화 구역 설정안
3 상권활성화를 위한 주요사업 방향
4 단계별 추진 및 제도개선 사항
VI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및 요약
2 정책 제언
부록 자문회의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영재
공주발전 대토론회(이소영,조영재,양광호) 2016. 04. 29
제 1회 한중 3농 포럼(조영재,탕빙위안,청야오) 2015. 09. 14
충남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 충남 마을연구 사례 및 향후 연구과제(김필동,유보경,조영재) 2015. 04. 17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43호 2008. 06.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