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정책세미나 (대형참사 예방을 위한 구조적 진단과 과제)(CNI세미나2018-026)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재난안전연구센터 정책세미나 (대형참사 예방을 위한 구조적 진단과 과제)(CNI세미나2018-026)

기간
2018. 04. 13 ~ 2018. 04. 13
연구자
조성
키워드
세월호,대형참사,위기관리,공동체,트라우마,재난대응,탄력성,사회적 고통
다운로드

충남연구원-세월호 참사 4주기 위기관리 학술대회_내지3차_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세월호 참사 4주기 위기관리 학술대회는 대형 재난 이후 공동체의 대응 역량과 사회적 회복탄력성을 주제로 열렸다 행사는 참사 이후 우리 사회의 대응 성찰과 안전한 사회 구현을 위한 위기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다양한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으로 구성되었다
기조발제에서는 대형참사를 사회적 소통의 결과로 해석하며 단순한 기술적 대응이 아닌 공동체 중심의 회복탄력성이 핵심임을 강조했다 국가 중심의 재난대응은 정보 은폐와 책임 회피로 인해 대응 실패를 야기할 수 있으며 자발적 주민 참여와 신뢰 기반 협치가 요구된다
세션별 발표에서는 트라우마 예방을 통한 정부 신뢰 회복 동일본대지진의 복구 사례 분석 사회적 고통의 구조적 원인 진단 등이 다뤄졌고 공동체 내부의 사회적 갈등 불균등한 피해 분배 문제 등도 주목되었다
종합토론에서는 대형화재 지진 해난 감염병 원전사고 등 분야별로 재난 유형별 시급한 대안들이 제시되었으며 재난 유형별 전문성과 다부처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전문가들은 재난이 단순히 외부의 위협이 아니라 공동체 내 취약성과 불평등 구조에 의해 증폭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재난관리 패러다임을 예방 중심에서 회복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역설했다
결론적으로 공동체의 회복탄력성은 단순 복구가 아닌 구조 개혁과 사회적 학습을 통한 자기조직화 과정이며 시민사회와 공공이 협력해 재난 이후 새로운 사회적 질서를 형성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목차

제1회의 기조발제 세월호 참사 위기관리의 변화와 과제
기조발제 1 대형참사와 공동체의 탄력성
기조발제 2 세월호 참사가 재난안전 분야에 주는 교훈
제2회의 대형참사 발생의 진단과 이슈
발제 1 국민과 소통하는 참사현장관리
발제 2 세월호 참사 4주기를 추모하며 얻는 교훈
발제 3 동일본대지진 복구부흥의 문제점 및 과제
토론 15 각기 다른 분야 전문가들의 분석
제3회의 종합토론 대형참사 위기관리 시급한 대안은 무엇인가
토론 16 대형화재 지진 해난사고 화학물질 감염병 원전안전 분야 토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