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수질조사 결과 지류에서는 BOD와 COD가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나 본류에서는 유속 감소와 체류시간 증가로 오히려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TP는 전체적으로 개선되었고 Chla는 보 설치 구간에서 증가했다
수생태 측면에서는 본류와 지류 모두 생물 종수 변화가 있었으며 보 설치 영향 구간에서는 호오탁성 호청수성 조류가 증가했다 특히 어류의 종수와 개체수는 지속 감소했으며 일부 구간은 건강성 지수가 매우 나쁨 수준을 기록했다
조류 모니터링에서는 상류와 하류 지역에서 개체수가 증감했으나 전반적으로 청둥오리 큰고니 등의 감소가 확인되었고 이는 먹이 공간 감소와 얕은 수심의 소멸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퇴적토 조사에서는 공주보와 세종보 상류에서 유기물 질소 인 등의 오염도가 높았으며 일부 지점은 미국 EPA 기준을 초과했다 특히 COD 완전연소가능량 총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자원 측정 결과 금강 정비사업 이후 세종보 공주보 인근에서 지하수위가 하강했으며 이는 강수량 지하수 이용량 수문 개방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 수문 개방 이후 수질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취수에는 큰 제약이 없었으나 일부 지역은 지하수위 하강으로 양수에 어려움을 겪었다 향후 과제로는 보 관리체계 보완 수질 오염 저감 대책 친수공간의 재자연화 등이 제시되었다
목차
1 추진배경
2 추진목적
3 추진계획
4 주요 연구내용
II 금강의 물환경 현황
1 수질 모니터링
2 경관생태 모니터링
3 수생태 모니터링
4 퇴적토 모니터링
5 하상 모니터링
6 수자원 모니터링
7 보 관리 모니터링
8 모니터링 결과 요약
9 모니터링 계획
III 향후 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종술
열린충남70호 2015. 04. 01
열린충남70호 2015. 04. 01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4년 하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시민단체 간담회 2015. 04. 01
큰빗이끼벌레 출현 대응책 마련을 위한 민관 전문가 합동 토론회(이상진,서지은) 2014. 08. 14
서해안지역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관련 충남지역 갈등관리 및 사회통합을 위한 과제와 전략 연구 2008. 01. 01
-
이경호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2차) 2012. 12. 03
2017 충남환경회의(CNI세미나2017-150)(이지언,여형범,오동훈,이상진,박재현,이재영,유연숙,장수찬,한재각,김정수,홍수열,정종관) 2017. 11. 17
충청남도 자기주도적행정체계의 지속적 관리방안 연구 2013. 03. 27
지방주도형 충청광역경제권 상생발전 전략 - 충청광역경제권 상생발전의 필요성과 시범사업 발굴 2013. 04. 29
지방정부에서의 공공 행정 영역에 관한 변화 동향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 2014. 04. 11
-
김영일
시군 자체수원 확보 실행계획 수립을 위한 토론회(CNI세미나2017-039) (김영일) 2017. 02. 07
2016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고승희,김영일,김용운) 2016. 04. 11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충청남도 수자원 관리 토론회(변희룡,신동헌,김영호,강형식,김영일) 2015. 11. 25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홍보를 위한 특집다큐 제작 관계자 토론회(CNI세미나2017-116) (김영일) 2017. 08. 28
가뭄에 대비한 금강유역통합관리와 상수원 다원화 방안(김영일, 허재영) 2015. 10. 20
- 정봉희
동일한 유형의 자료
-
연구정책조성/기타환경과 경제가 함께 가는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정책 토론회 (이진용,강인구,임성순,채성주,원광희,이상규,박상헌,윤혁렬,이용우,남광현,이상현,오동하,김종일,정환도)2007. 10. 08
-
-
-
-
연구정책조성/워크숍2014년 4개시도 금강정책공동연구회 제1회 워크숍'4대강 사업 이후의 물관리 과제와 전망'(배덕효,김송,이현정,이영근,조용모,허재영,최지용)2014. 0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