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금강포럼 - 수문개방 이후, 금강의 미래 (CNI세미나2018-050)
연구정책조성/포럼

금강포럼 - 수문개방 이후, 금강의 미래 (CNI세미나2018-050)

기간
2018. 06. 21 ~ 2018. 06. 22
연구자
이경호,김종술,김영일,정봉희
키워드
금강,수환경,모니터링,보 개방,퇴적토,수생태,수질,지하수
다운로드

금강 보 수문개방에 따른 물환경 현황 및 과제(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금강 물환경 모니터링은 수환경 급변과 수생태 이상현상 대응을 위해 추진되었으며 단계별 계획에 따라 수질 수생태 하상 퇴적토 수자원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했다 1단계20112015는 자료축적과 사고 대응체계 구축 2단계20162020는 협력체계 구축 및 지표 개발 3단계2020년 이후는 거버넌스 강화와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설정되었다
수질조사 결과 지류에서는 BOD와 COD가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나 본류에서는 유속 감소와 체류시간 증가로 오히려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TP는 전체적으로 개선되었고 Chla는 보 설치 구간에서 증가했다
수생태 측면에서는 본류와 지류 모두 생물 종수 변화가 있었으며 보 설치 영향 구간에서는 호오탁성 호청수성 조류가 증가했다 특히 어류의 종수와 개체수는 지속 감소했으며 일부 구간은 건강성 지수가 매우 나쁨 수준을 기록했다
조류 모니터링에서는 상류와 하류 지역에서 개체수가 증감했으나 전반적으로 청둥오리 큰고니 등의 감소가 확인되었고 이는 먹이 공간 감소와 얕은 수심의 소멸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퇴적토 조사에서는 공주보와 세종보 상류에서 유기물 질소 인 등의 오염도가 높았으며 일부 지점은 미국 EPA 기준을 초과했다 특히 COD 완전연소가능량 총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자원 측정 결과 금강 정비사업 이후 세종보 공주보 인근에서 지하수위가 하강했으며 이는 강수량 지하수 이용량 수문 개방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 수문 개방 이후 수질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취수에는 큰 제약이 없었으나 일부 지역은 지하수위 하강으로 양수에 어려움을 겪었다 향후 과제로는 보 관리체계 보완 수질 오염 저감 대책 친수공간의 재자연화 등이 제시되었다

목차

I 금강 물환경 모니터링
1 추진배경
2 추진목적
3 추진계획
4 주요 연구내용
II 금강의 물환경 현황
1 수질 모니터링
2 경관생태 모니터링
3 수생태 모니터링
4 퇴적토 모니터링
5 하상 모니터링
6 수자원 모니터링
7 보 관리 모니터링
8 모니터링 결과 요약
9 모니터링 계획
III 향후 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